• 전체·주요뉴스

[경관일기] 토론토의 다운타운 - 2
세계 도시의 녹색환경과 문화 & LANDSCAPE’ - 265캐나다 동부편 - 25토론토의 다운타운 - 2글·사진_강호철 오피니언리더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교수15C 말 영국 국왕의 명을 받고 처음 들어온 이전까..라펜트2022-01-07
2022년 건설산업을 좌우할 6가지 이슈는?
건산연이 뽑은 2022년 건설산업의 주요 이슈 / 건산연 제공2021년에는 건설수주, 건설기성 등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건설시장은 크게 성장했고, 올해에도 성장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올해에는 성장 증가폭은..라펜트2022-01-07
2022년 조경 엔지니어링 및 건설사업관리기술인 노임 발표
올해 건설기술인들의 임금이 발표됐다.2022년 엔지니어링기술자 임금엔지니어링기술부문별 기술자 평균임금(엔지니어링 노임단가) / 한국엔지니어링협회 제공2022년 조경기술사 임금은 1인 1일 기준 390,500..라펜트2022-01-05
[신년 특별기고] ‘K-조경’ 진화의 길: 한국조경의 향후 ..
조세환(한양대 도시대학원 명예교수)2022년은 한국조경 50년을 맞이하는 해다. 진정 축하해 마지않는다. 하지만 지난 50년 동안 한국조경의 괄목할 만한 성장의 흐름을 지켜 봤지만 아직…. 여전히…. 갈증이 가시지..라펜트2022-01-04
[녹색시선] 스마트 기술 소개를 마치며
스마트 기술 소개를 마치며글_이두열 EM디자인 소장지난 5년간 외부공간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기술을 12회에 걸쳐 연재하였다. 글의 목적은 기술을 통해 문제점을 해결하고 창의적인 미래공간을 준비하는데 있었다..라펜트2022-01-03
새 정부에는 ‘녹색자원’ 관리하는 전담 부처 필요
전 세계가 힘을 모아 해결해야 할 기후위기 극복은 이미 거스를 수 없는 지구적 대세가 됐다. 국내적으로는 2022년 대선이 실질적으로 2달여 남짓 남은 시점이다. 어떤 정권이 들어선다고 해도 새롭게 들어설 정부..라펜트2021-12-31
라펜트가 선정한 2021년 조경계 10대뉴스 - 국내편
국내편조경 설계분야의 공정한 대가지급 ‘조경설계 표준품셈’ 제정ⓒThinkstock 2021년 시작은 조경 설계분야의 공정한 대가지급 환경 조성을 위한 표준품셈이 제정됐다는 소식으로 문을 열었다.1월 4일 공표..라펜트2021-12-31
라펜트가 선정한 2021년 조경계 10대뉴스 - 해외편
해외편재택근무, 정원에서 한다ⓒ Boano Prišmontas재택근무 요구도는 코로나19 이전에도 있었으나 전염병때문에 급속하게 전환되면서 전염병과 무관하게 재택근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한 해였다.연구 및 자문..라펜트2021-12-31
[경관일기] 토론토의 다운타운 - 1
세계 도시의 녹색환경과 문화 & LANDSCAPE’ - 264캐나다 동부편 - 24토론토의 다운타운 - 1글·사진_강호철 오피니언리더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교수토론토시 외곽은 대부분 그린벨트로 지정되어 있답..라펜트2021-12-31
도시재생사업과 정원 연계해 지역활성화 해야
정부는 기존의 도시정책 2018년 ‘도시재생 뉴딜 정책’을 발표하고 관련 사업을 진행 중이지만, 조경·정원 분야의 참여는 아직 요원한 수준이다.국립수목원 정원연구센터에서는 도시재생사업에 정원을 접목해 지역 ..라펜트2021-12-30
[녹색시선] 국가도시공원이라는 대선 공약
국가도시공원이라는 대선 공약글_안승홍(한경대 조경학과 교수)기후변화로 인한 폭염, 폭우, 폭설, 가뭄 등 재앙적 수준의 위협을 해결하고자 인류는 유엔 기후변화 회의에서 국제법으로서 파리협정(Paris Agreeme..라펜트2021-12-28
조경기술인의 (산림)녹지조경기술자 중복등록 허용
조경기술인과 녹지조경기술자의 중복인정이 가능해졌다. 이로써 조경기술인 자격을 유지하면서 산림(녹지조경)기술자 자격을 취득할 수 있게 됐다. 더불어, 시공분야에 이어 설계분야도 산림용역에 대한 공정한 참..라펜트2021-12-24
[경관일기] 이번 답사의 마지막 기착지, 토론토
세계 도시의 녹색환경과 문화 & LANDSCAPE’ - 263캐나다 동부편 - 23이번 답사의 마지막 기착지, 토론토글·사진_강호철 오피니언리더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교수퀘벡에서 시작된 동부지역 답사는 몬..라펜트2021-12-24
“땅을 바라보고 풍경의 바닥에 관심을 가질 기회가 됐길”
‘덕수궁 프로젝트 2021: 상상의 정원’이 9월 10일부터 11월 28까지 10명의 작가와 함께 덕수궁 야외에서 열렸다. 네 번째를 맞이하는 이번 ’덕수궁 프로젝트‘는 황궁으로써의 명확한 정체성을 지녀왔던 덕수궁을 ..라펜트2021-12-23
[정정수의 자연예찬] 온돌 - 2
정정수의 자연예찬온돌 - 2글_정정수 JJPLAN 대표,ANC 예술컨텐츠연구원 원장자연스러운 난방문화 ‘온돌’세상에는 각 나라별로 말과 글이 다르고 또 가옥과 의상이 다르며 먹는 것 또한 다르다. 모든 나라가 ..라펜트2021-12-23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조경유지관리, 제도개선 방향은?
성숙형 도시로 변화함에 따라 도시개발에서 도시관리로 도시개발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고, 이에 따라 조경유지관리 부분 역시 기존 사후관리방식에서 예방중심의 점검, 관리로 변화하고 있다. 나아가 스마트 ..라펜트2021-12-21
이광재 의원 등 25명, ‘우리동네 수변공원법’ 국회 발의
재정이 부족한 지자체의 도심하천에 수변공원이 조성될 수 있도록 예산을 지원하는 내용이 담긴 ‘우리동네 수변공원법’이 20일 국회에서 발의됐다.이광재 의원(원주시갑) 등 25명의 국회의원들은 지방 도심하천의 ..라펜트2021-12-21
LH, 공공주택 가로환경 디자인 가이드라인 발표
‘관계의 재설정 : 보행의 경험을 디자인하다’에서 구성된 중정의 모습 / 온라인 전시 캡쳐LH는 향후 공공주택에 적용될 가로환경을 체험할 수 있는 온라인 전시회 ‘관계의 재설정 : 보행의 경험을 디자인하다’를 ..라펜트2021-12-21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