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주요뉴스

키워드 '녹색시선' 검색 결과 29 건
[녹색시선] 기후변화와 유산의 조경관리
기후변화와 유산의 조경관리글_이창환 상지대학교 명예교수,ICOMOS한국위원회 집행위원2022년 8월 8일 서울의 도심 강남에 시간당 100㎜/hr이상 폭우가 쏟아져 교통이 마비되고 하수구가 막혀 인명피해 등 많..라펜트2022-10-28
[녹색시선] 데이터 전공생들과 함께한, 자연보호 AI 개..
데이터 전공생들과 함께한, 자연보호 AI 개발 경험기글_유병혁 국립공원공단 과장경험과 지식으로 다른 사람을 지도하고 조언해주는 사람을 멘토(mentor)라고 한다. 필자는 나름대로 학습을 게을리하지는 않..라펜트2022-09-13
[녹색시선] 숲과 산불
숲과 산불글_김동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교수35억년 전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세포들이 출현한 이후 지금의 산소 농도 21%를 유지시켜준 것은 이산화탄소를 열심히 소비해준 식물 덕분이고 인간을 포함한 생물들이..라펜트2022-07-13
[녹색시선] 청와대 전면개방과 공원화
청와대 전면개방과 공원화글_이창환 논설위원(상지대학교 명예교수)최근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따른 논쟁이 뜨겁다. 전통 조경 전문가로써 몇 자 적어본다.경복궁 뒤편 북악산 끝자락에 자리잡은 청와대는 김..라펜트2022-04-25
[녹색시선] 기후위기와 기후정의
기후위기와 기후정의글_김건우 한양대 도시대학원·공학대학원 교수급속한 도시화는 세계적인 현상입니다. 2000년 전세계 인구의 47%가 도시에 살고 있고, 이러한 도시화 현상은 계속되어 2050년에는 전세계 인구의..라펜트2022-04-07
[녹색시선] 공간소비 시대
공간소비 시대글_조용준 ㈜CA조경기술사사무소 소장일상과 비일상 속에서 우리는 수많은 공간을 소비하고 있다. 점심식사 후 동료들과 새로운 카페를 찾아 나선다. 단골집의 익숙함도 좋지만, 어제와 오늘이 다른 ..라펜트2022-03-22
[녹색시선] 반려식물 가로수 독살사건
반려식물 가로수 독살사건글_김동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교수역사적으로 기원전 14세기부터 가로수를 심었다고 전해진다. 우리나라는 정조 때에 소나무 가로수를 심었다는 기록도 있으며, 근대에 이르러서는 조선..라펜트2022-03-17
[녹색시선] 생각보다 어렵지 않은, 지식공유와 집단지성
생각보다 어렵지 않은, 지식공유와 집단지성글_유병혁 국립공원공단 과장필자는 기술 블로거다. 지도 제작과 관련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블로그에 11년째 올리고 있다. 공직생활 중에 틈틈이 하는 ..라펜트2022-03-10
[녹색시선] 행복한 조경인, 행복한 국민
행복한 조경인, 행복한 국민글_김동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교수조경이라는 학문에 입문을 할 때 나무를 심고 공원을 만드는 직업이라는, 그리고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아주 미래가 밝은 직업이라는 막연한 생각..라펜트2022-01-17
[녹색시선] 탄소중립과 보호지역
탄소중립과 보호지역글_김동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교수기원전 3세기에 스리랑카의 데바남피야 티샤 Devanampiya Tissa왕은 세계 최초로 자연보호구역을 공식적으로 지정했다. 그리고 2,000년이 지난 후 웨스트요..라펜트2021-11-12
[녹색시선] 정원도시를 꿈꾸는 모두에게
정원도시를 꿈꾸는 모두에게– 부제 The first National Park City London글_김진수((사)인공지반녹화협회 부회장,㈜랜드아키생태조경 대표이사))1 많은 도시들이 정원도시가 되기를 원한다. 순천도 그러하고, 전주..라펜트2021-02-17
1 2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