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주요뉴스

시공간(space-time)의 ‘자연’과 시존재(time-being)의 ″..
"경공환장: 다시 보는 일상, 느껴 보는 도시"  Part 2: 07 자연(Nature) Ⅰ시공간(space-time)의 ‘자연’과 시존재(time-being)의 “자연”... 글_안명준 오피니언리더조경시공연구소 느티 대표│..라펜트2017-06-23
[녹색시선] 서울로7017 이야기
서울로7017 이야기글_주신하 교수(서울여대 원예생명조경학과)드디어 서울역 고가도로가 지난 5월에 열렸습니다. 이름도 새롭게 ‘서울로7017’로 개명하고 시민들을 만나게 된 것이지요. 서울역 고가도로는 20..라펜트2017-06-22
[녹색시선] 대통령님께 드리는 글
대통령님께 드리는 글― 우리의 아이들을 위해 지방에도 크고 멋진 공원 만들어 주세요 ―글_김승환 상임대표(동아대학교 명예교수,100만평문화공원 범시민협의회 운영위원장)‘공원의 꿈’에 대한 이 글을 ..라펜트2017-06-20
[책 속으로] 정원, 교양이 되다
정원, 교양이 되다글_오정학 경기도시공사 과장(ohjhak@daum.net)가든 디자인의 발견오경아 지음, 궁리 펴냄(2015)정원 소개가 많아졌다. 점점 늘어나는 정원 박람회와 책자 발간이 이를 말해준다. 수요가 있..라펜트2017-06-15
[녹색시선] 1,200년 동안 전통방식을 고수해온 ″하동 전..
1,200년 동안 전통방식을 고수해온 “하동 전통차농업”글_백승석 과장(한국농어촌공사)하동은 경상남도 최서단에 위치해 있으며, 그 중에서 하동군 화개면은 지리산과 어우러진 청정하고 수려한 자연경관을 지니고 ..라펜트2017-06-14
[녹색시선] 일상 속의 시간척도2 - 짧은 순간의 여유
일상 속의 시간척도2 - 짧은 순간의 여유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일상에서 벗어난다는 것지난 가을 필자는 잠시 천리포수목원에 머문 적이 있다. 모처럼 연구년을 맞이하여 그동안 부족한 글도 읽..라펜트2017-06-07
[녹색시선] 여름나기
여름나기글_주명돈 전무이사((주)한국종합기술)회사 모퉁이 고덕천변에 벚꽃이 핀지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한 낮 온도가 20도를 넘나드는 여름의 문턱에 와 버렸다. 지금 벌써 이렇게 더우면 7, 8월은 얼마나 더 ..라펜트2017-06-02
[녹색시선] 새 정부, 그리고 일자리 창출로서의 생태복원
새 정부, 그리고 일자리 창출로서의 생태복원글_조동길 대표(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2017년 5월 10일. 새로운 대한민국이 시작되었다. 정치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일지라도 우리나라의 대통령이 누구인지는 안다. ..라펜트2017-05-31
[녹색시선] 새 정부에 기대하는 생태복원 정책의 기본 ..
새 정부에 기대하는 생태복원 정책의 기본 방향글_구본학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회장,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새 정부가 구성되면서 기존 정책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시각을 담은 정책들이 속속 선보이면서 특..라펜트2017-05-25
[녹색시선] 도시공원정책은 행정을 이끄는 리더의 의지..
도시공원정책은 행정을 이끄는 리더의 의지에 달려있다글_김수봉 교수(계명대 생태조경학전공)필자가 2014년 번역한 벤 휘태커와 케네스 브라운의 공저 “우리의 공원”(원제: Parks For People)은 1970년대 영국의 ..라펜트2017-05-24
[미래포럼] 그린스트리트, 도시가로의 새로운 패러다임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미래포럼‘조경인이 그리는 미래’ Series No.24그린스트리트, 도시가로의 새로운 패러다임임주원 Hill Studio Fellow Consultant,(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디자인 실장현대도시에..라펜트2017-05-19
[녹색시선] 축소도시와 도시재생 그리고 조경
축소도시와 도시재생 그리고 조경글_안상욱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이사장모든 사람이 나고 커서 늙고 죽는 것처럼 도시도 나라도 사람처럼 생로병사를 겪는다. 오천년 역사를 자랑하는 우리나라가 요즘 인..라펜트2017-05-17
[녹색시선] 꽃으로 가득 찬 정원이어야...
꽃으로 가득 찬 정원이어야...글_손관화 교수(연암대학교 화훼디자인계열 가드닝전공)2017년 고양국제꽃박람회를 다녀왔다. 국내 초화류 이용 현황을 체크해보느라 3년째 고양국제꽃박람회장의 초화류 종류를..라펜트2017-05-11
[녹색시선] 생태복원업 신설의 정도(正導)
생태복원업 신설의 정도(正導)글_조세환(한양대 도시대학원 도시경관생태조경학과 교수                                 ..라펜트2017-05-07
함께(together)하는 ‘공모’, 생각(thinking)하는 ″공모″..
"경공환장: 다시 보는 일상, 느껴 보는 도시"  Part 2: 06 공모(Competition) Ⅱ함께(together)하는 ‘공모’, 생각(thinking)하는 “공모”... 글_안명준 오피니언리더조경시공연구소 느티 ..라펜트2017-04-26
[녹색시선] 스타가 필요한 시대
스타가 필요한 시대글_주신하 교수(서울여대 원예생명조경학과)프로야구가 개막을 했습니다. 프로야구는 올해로 벌써 36년째 리그를 맞이하고 있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프로 스포츠 입니다. 1982년은 제가 중..라펜트2017-04-20
[책 속으로] 공원과 해체주의
공원과 해체주의해체주의와 건축이론임기택 지음, 스페이스타임 펴냄(2014)오정학 경기도시공사 과장 (ohjhak@daum.net)놀라웠다. 일단 외형만으로는 예고했던 ‘21세기형 도시공원’ 다웠다. 1987년에 모..라펜트2017-04-19
[미래포럼] 오래된 공원의 미래: 그린인프라에서 멀티인..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미래포럼‘조경인이 그리는 미래’ Series No.23오래된 공원의 미래: 그린인프라에서 멀티인프라로변재상 신구대학교 교수 자원과 유저를 연결하는 새로운 플랫폼, 공유경제2008년 금융..라펜트2017-04-18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