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주요뉴스

코로나19, 녹지공간 이용률 높아져···공간별 특성에 맞..
코로나19 발생 이후 국내 녹지공간 이용률이 51% 증가하는 등 도시민의 여가 및 야외활동 장소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코로나19 이후 숲, 강변, 공원, 보행로 등 도심 속 그린인프라의 ..라펜트2021-09-08
3세대 그린인프라 도입으로 환경회복탄력성 높여야
자연과 인간, 인간과 자연은 상호적 연관 속에서 시스템을 형성하고 있다. 산업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은 자연의 시스템을 크게 손상했고, 그 결과 기후변화라는 전대미문의 사태가 눈 앞에 펼쳐지고 있다. ..라펜트2021-08-27
[당선작] 오늘의 문화, 내일의 공원
오늘의 문화, 내일의 공원Cultivated Culture, Evolving Park㈜바이런+Studio201양천구 제공1980년대의 신도시 공원은 법적 요구조건에 따라 특정한 기능적 목적을 수행하는 도시기반시설로써 조성됐다. 당시의 신..라펜트2021-08-24
[지명초청작] 오목공원 OMOCK [Youth Lab] Park
라펜트는 양천구에서 실시한 ‘오목공원 맞춤형 리모델링 지명설계공모’ 지명초청작 5개를 소개하고자 한다. 공모전에는 ▲디자인스튜디오 Loci(박승진) ▲Lab D+H 조경설계사무소(최영준) ▲Studio101(김현민) ▲LP Sc..라펜트2021-08-22
광명시, 정원문화 관련 조례로 국가정원 조성 토대 닦는다
안양천을 중심으로 국가정원을 조성을 시의 주요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광명시가 정원문화 확산을 위한 조례를 입법예고 했다. 박승원 시장은 올해 7월 ‘광명 이목(二木)포럼’에서 ‘안양천 종합계획’..라펜트2021-08-20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앞으로의 10년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올해 10월 8일부터 31일까지 구리시에서 개최될 예정인 ‘2021 제9회 경기정원문화박람회’ 행사장 조감도 / 경기도 제공국내 최고 정원박람회로 정원문화의 전국적 확산에 크게 기여한 ‘경기정원문화박람회’가 10여..라펜트2021-08-19
[해외토픽] ‘2021 제프리 젤리코상’ 잘라 마크주미 수상
세계조경가협회(IFLA) 최고상인 ‘제프리 젤리코 상(Sir Geoffrey Jellicoe Award)’의 올해 수상자 잘라 마크주미(Jala Makzoumi) 박사 / IFLA 제공세계조경가협회(IFLA)는 올해의 ‘제프리 젤리코 상(Sir Geof..라펜트2021-08-19
줄어드는 공원예산, 민간공원 도입의 조건은?
공원은 경제력, 생활환경, 계층에 상관없이 누구나 편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하는 대표적인 공공재이다. 하지만 저출생으로 인한 인구 감소와 노인인구증가, 양극화 심화 등으로 복지재원 수요가 늘어나게 된..라펜트2021-08-18
[해외토픽] 올해 미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캠퍼스는?
미국에서 가장 뛰어난 캠퍼스 설계 프로젝트 선정하는 ‘2021 SCUP Excellence Awards’의 수상 결과가 현지시간 12일 발표됐다.수상 부분은 크게 ▲계획 ▲조경 ▲건축으로 나눠지며, 심사위원 상에는 웰즐리 대학(Wel..라펜트2021-08-17
탄소중립을 위한 조경계의 실제적 역할 모델 만들어야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위원회는 이번 달 5일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초안을 발표했다. 이제 탄소중립은 후퇴할 수 없는 시대의 과제로 떠오르게 됐고, 각 산업 분야와 학계는 탄소중립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라펜트2021-08-13
국민이 행복한 푸른 국토, 올해의 조경공간 16곳은 어디..
(사)한국조경학회와 국토교통부는 ‘재11회 대한민국 조경대상’을 개최, 총 16개 작품을 선정했다.대한민국 조경대상은 조경진흥법 제16조(우수조경 시설물의 지정 및 지원), 제17조(포상 및 시상)에 근거해 조경활..라펜트2021-08-08
집에서 공원까지 인천은 11㎞, 서울은 1㎞
인천광역시에서는 집에서 생활권 공원까지 가려면 11.37㎞를 이동해야 한다. 반면 서울시의 접근거리는 1㎞로 전국 최단거리이고, 부산은 2.02㎞, 경기도는 4.7㎞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전 국토를 ..라펜트2021-08-06
시(詩)와 조경 사이를 오가며 사유하는 사람들
ULC Press은 조경과 예술의 관계를 조망하고자 마련된 연속 세미나인 ‘OPEN SPACE, OPEN ARTWORK’의 첫 번째 순서를 ‘조경 × 문학’를 지난달 14일 개최했다.이번 세미나에서는 임한솔 ULC Press 에디터가 ‘경관쓰..라펜트2021-08-06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조경·정원디자인학부’로 개편
홍광표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장과 유주한 동국대학교 조경·정원디자인학부장은 교육과 연구 협력을 약속하는 MOU를 7월 29일 체결했다.동국대학교 조경·정원디자인학부는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와 함께 실무중..라펜트2021-08-01
조경, 어디까지 ‘스마트’해졌을까?
‘스마트공원’을 주제로 열린 월간 웨비나 화면캡쳐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인프라 관리 기술 발달에서 공원녹지의 현재 위치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사)한..라펜트2021-07-29
그린인프라와 LID에 조경은 어디까지 참여할 수 있을까?
최근 독일, 벨기에 등 서유럽 국가에서 역사상 유례없는 대홍수가 벌어져, 수백에 달하는 사망자와 실종자가 생겼다.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의 안전지대가 없음이 점점 분명해지고 있다. 홍수뿐만 아니라 가뭄과 열..라펜트2021-07-25
세계각지에서 ‘조경’으로 모였다! ‘글로벌 조경가 네트..
‘글로벌 조경가 네트워크(GLAN, Global Landscape Architects Network)’ 창립총회가 24일 온라인으로 개최됐다.‘조경’이라는 공통분모로 세계각지의 사람들이 교류하는 ‘글로벌 조경가 네트워크(GLAN, Global Land..라펜트2021-07-25
한국 조경의 최전선에 서 있는 5인의 조경 그리고 철학
전 세계적인 건설경기 정점인 2000년대를 지나 2008년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미국 주도의 조경트랜드가 다원화되기 시작했다. 전 세계에서 뛰어난 조경가들이 나오기 시작했고, 특히 아시아의 조경이 조명받기 시작..라펜트2021-07-22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