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주요뉴스

키워드 '성종상' 검색 결과 24 건
성종상·김신원 교수, 3기신도시 조경 총괄계획가 위촉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교수와 김신원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교수가 3기 신도시 조경분야 총괄계획가(MP)로 위촉됐다. 각각 하남교산, 남양주왕숙2지구다.LH(사장 변창흠)는 3기 신..라펜트2020-04-28
고양호수공원 2030년 청사진 나왔다
리노베이션안 / 고양시정연구원 제공고양시정연구원이 호수공원 2030년 청사진이 담긴 ‘호수공원 미래설계 기본계획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고양시정연구원은 김준우 연구위원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성종상 ..라펜트2020-02-09
[녹색시선] 어휘와 사유의 깊이
어휘와 사유의 깊이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1각종 언어와 관련된 공식 통계 사이트인 에스놀로그(Ethnologue, http://www.ethnologue.com)에 의하면 지구상에는 대략 7천여 개의 언어가 있다고 한..라펜트2019-10-17
[녹색시선] 미안하다, 아이들아......
미안하다, 아이들아......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필자는 여행을 자주 하는 편이다. 전공상 필요도 있지만 개인적으로도 좋아해서 기회가 될 때마다 다니려 하고 있다. 하지만 해외, 그것도 선진국..라펜트2019-02-17
[녹색시선] 지식 홍수 속에서 잘 배워서 잘 써먹기
지식 홍수 속에서 잘 배워서 잘 써먹기 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수년 전 좋아하는 한 시인을 모셔서 강연을 들은 적이 있다. ‘자연이 말하는 것을 받아쓰다’라는 제목이었는데 탁월한 감수성..라펜트2018-08-16
[녹색시선] 앎과 실천, 지식과 교만
앎과 실천, 지식과 교만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어떤 시대, 어느 지역이든 지식인은 남다른 식견과 생각을 지닌 존재로 간주된다. 우리 사회에서도 무슨 문제가 터질 때마다 TV나 언론에는 이른바 ..라펜트2018-04-10
[녹색시선] 조경으로 여는 삶의 풍경
조경으로 여는 삶의 풍경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유엔 통계에 따르면 2050년까지 세계 인구가 90억 명을 넘어 서는데 그 중 70%가 도시에 거주할 것이라고 한다. 향후 20만명 도시가 1만 300개 이..라펜트2017-12-10
[녹색시선] 녹색공간의 사회학
녹색공간의 사회학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지금 한국사회는 힘들고 아프다. 사회 전반에 걸쳐 쌓인 갈등이 혐오와 분노로까지 심화되고 있다고 염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헬조선, 김치녀, 맘충, 노..라펜트2017-10-12
[녹색시선]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정말로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아.    - 쌩떽쥐베리, 「어린 왕자」보이는 것들이 보는 것을 가로막는다.  보여..라펜트2017-08-08
[녹색시선] 일상 속의 시간척도2 - 짧은 순간의 여유
일상 속의 시간척도2 - 짧은 순간의 여유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일상에서 벗어난다는 것지난 가을 필자는 잠시 천리포수목원에 머문 적이 있다. 모처럼 연구년을 맞이하여 그동안 부족한 글도 읽..라펜트2017-06-07
[녹색시선] 일상 속의 시간척도 - 식물의 속도와 기계의..
일상 속의 시간척도 – 식물의 속도와 기계의 속도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빨리빨리’의 일상 풍경‘빨리빨리’는 한국인 혹은 한국문화를 드러내는 말로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 중 하나이다. 옥스..라펜트2017-04-04
[녹색시선] 한국인의 관계지향의식과 생태
한국인의 관계지향의식과 생태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우리는 늘 주변과 이런저런 관계를 맺으며 살고 있다. 주변이란 자연일수도 있고 인간 혹은 사회일수도 있다. 인간을 ‘환경의 동물’이라고 할..라펜트2017-02-09
[녹색시선] 한국인의 마음풍경
한국인의 마음풍경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경관이라는 단어는 조경이나 건축 등 전문분야들만의 용어가 아니다. 도시경관, 야간경관, 경관 연출 등 어느 사이엔가 널리 쓰이게 되면서 일반인에게도..라펜트2016-12-08
[녹색시선] 정원으로 만나는 명사들의 삶
정원으로 만나는 명사들의 삶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얼마 전 시내에 나간 김에 짬을 내어 대형 서점을 들린 적이 있다. 최근 우리 사회에 도시농업과 정원에 관한 관심이 많이 높아진 듯하여 그 ..라펜트2016-10-18
[녹색시선] 일상 속의 Sense and Sensibility
일상 속의 Sense and Sensibility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영국의 유명 여류소설가 제인 오스틴의 대표작 Sense and Sensibility는 예리한 관찰력과 섬세한 표현력으로 종잡을 수 없는 인..라펜트2016-08-09
[녹색시선] 우리 시대 풍경 감수성과 조경가의 사명
우리 시대 풍경 감수성과 조경가의 사명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십 여 년 전 현상설계로 나온 선유도공원(당시 선유도정수장)에 대해 조사하다가 그 곳이 섬이 아니라 봉우리였다는 사실을 알고는 ..라펜트2016-06-21
[미래포럼] 우리시대 아파트 풍경 유감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미래포럼‘조경인이 그리는 미래’ Series No.11우리시대 아파트 풍경 유감 : 더불어 사는 삶터의 진정한 회복을 위하여성종상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운영위원..라펜트2016-04-19
남산포럼 창립을 위한 토론회
서울시가 남산에 대한 연구 단체로 ‘남산포럼’ 창립을 준비하고 있다. 시는 오는 24일(수) 오전 9시 40분 서울시청 시민청 워크숍룸에서 남산의 보존과 관리 방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남산포럼’ 창립전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시민과 전문가 50여명이 참가하는 이번 ..라펜트2014-12-23
1 2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