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물 부족 지역 10곳, 지하수저류댐 설치
- 정부가 전국 물 부족 지역 10곳에 지하수저류댐 설치를 확대한다. 환경부는 16일 전국 상습 물 부족 지역을 선정했으며, 올해 3곳은 착공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번 지하수저류댐 설치사..라펜트2024-01-17
- 지자체는 지금 가뭄과의 전쟁 中
- 계속되는 가뭄으로 가로수에 긴급 관수 작업을 하고 있다. / 수원시 제공최근 6개월간 전국의 누적 강수량은 199.7㎜로 평년의 57.3% 수준에 그쳤다. 전국이 계속되는 기상가뭄에 고통을 받고 있다. 정부..라펜트2022-06-16
- 건국대 연구팀, 사막화방지 식물 개발 토대 마련
- 앞으로 사막화 방지 작물 개발의 새로운 토대가 마련됐다.건국대학교는 KU융합과학기술원 의생명공학과 윤대진 교수 연구팀이 가뭄에 견디는 과정을 분자 수준에서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밝혔다.식물이 건조한 환경..라펜트2019-09-19
- 조경단체, 가뭄피해 제도개선 '결의'
- 조경식재 가뭄대책 토론회조경단체들은 조경식물 가뭄 대책으로 유지관리에 대한 제도 개선을 확고히 하겠다는 결의를 다졌다.한국조경학회 조경식재연구회와 한국조경사회는 ‘조경식재 가뭄 대책’에 대한 긴급 토..라펜트2017-07-05
- 미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수자원법’ 마련
- 기후변화, 협력적 거버넌스, 신성장동력 요구 증대 등 수자원을 둘러싼 미래 환경변화에 보다 체계적·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법률이 공포됐다.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라펜트2017-01-26
- 제주 빗물 모아 한해 176만톤 농업용수 활용
- 제주도가 도내 빗물이용시설을 통해 연간 176만 톤의 지하수 절감 효과를 확인했다.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2005년부터 빗물이용시설 지원 사업으로 도내 864개소에 시설을 설치했으며, 빗물을 대체 수자원으로 재..라펜트2016-10-05
- ″환경·생태·공학은 환경문제를 해결할 열쇠″
- 2016년 한국환경생물학회-응용생태공학회 공동학술대회“환경·생태·공학은 미래 우리 사회의 환경문제를 해결할 열쇠이다“배연재 (사)한국환경생물학회 회장은 “한국환경생물학회가 목표로 하는 환경생물학적 원리..라펜트2016-07-01
- 104년만 최악가뭄, 수목물주기 대대적으로 펼쳐
- 기상청에 따르면 5월 1일부터 6월 25일까지의 강수량은 68.4mm로 평년 223.3mm의 31% 수준이라고 한다. 이렇듯 104년 만의 최악의 가뭄으로 시내 가로수와 녹지대 수목들이 메말라 가고 있다. 이에 서울..라펜트2012-06-27
- 조경수, “목탄다, 목타!”
- 서울시 한강사업본부가 ‘가뭄대비 한강공원 급수대책’(대책반장 최임광 한강사업본부장)을 수립‧운영에 나섰다. 대책본부는 “100여년 만에 맞는 최악의 가뭄으로 한강공원 내 수목 및 잔디의 생육..라펜트2012-06-24
- ‘조경 수목’ 가뭄피해 극복하자
- 대전 시는 관내 공원녹지대의 조경 수목에 대한 가뭄피해를 극복하기 위한‘가뭄피해 예방을 위한 한해대책’을 수립하고, 본격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자치구와 관수대책반을 편성하여 급수차량 및 양수기 등 장비와 자체인력을 활용해 가뭄극복에 총력..라펜트2012-06-0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