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₂ 먹는 콘크리트’ 국내 최초 개발···연간 50만톤 감축
- CO₂나노버블 배합수 제조 장치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콘크리트가 이산화탄소를 먹는 시대가 열렸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지구온난화의 원인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를 콘크리트 안에 저..라펜트2024-04-29
- 19평 목조주택 한 채, 승용차 18대 연간 탄소 배출량 상쇄
- 목조건축 사례_국립산림과학원 한그린 목조관(높이 19.1m, ’18년) / 산림청 제공19평 목조주택 한 채가 승용차 18대의 연간 탄소 배출량을 상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목조건축..라펜트2023-03-26
- 이산화탄소→연료 전환기술개발…한전 33억 투입
- 기술개요 ⓒ한국전력한국전력은 LG히타치 워터솔루션은 환경오염의 원인 이산화탄소(CO₂)를 천연가스 주성분인 메탄가스로 전환하는 기술인 ‘이산화탄소 바이오메탄화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본 기술은 총..라펜트2017-07-06
- ‘서울의 녹색허파’ 북한산국립공원
-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엄홍우)이 지난해 북한산국립공원의 자연자원을 조사한 결과 북한산국립공원이 347만톤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공단 ..우드뉴스2011-08-26
- 롯데건설, 건축물의 이산화탄소 평가시스템 개발
- 롯데건설과 한양대 친환경건축 연구센터는 건축물의 전 생애 기간 동안 이산화탄소 배출량(LCCO₂, Life Cycle CO₂) 을 평가하는 프로그램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건축물의 설계에서부터 원자재의 생..라펜트2010-01-18
- 대우건설, 국내 최초 탄소배출저감 콘크리트
- 대우건설은 지구온난화 등 환경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위해 국내 최초로 탄소배출저감 콘크리트를 개발, 실용화했다. 대우건설 기술연구원이 개발한 탄소배출저감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주원료인 시멘트 대신 화력발전소와 제철소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플라이 애쉬(Fly A..라펜트2010-01-1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