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생태휴식공간 부처간 협업강조’

국토부·환경부 업무보고 후 토론에서
라펜트l나창호 기자l기사입력2013-04-11

 

다양한 도시 공원과 유휴부지를 적극 활용해 도시민을 위한 생태휴식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생태공원과 휴양림 등은 국민에게 중요한 휴식공간인데, 각 부처가 따로따로 노력하다 보면 시너지를 낼 수 없다. 부처 간 어떻게 힘을 합할지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박근혜 대통령은 4일 국토교통부·환경부 업무보고에 이어 진행된 토론에서 이같이 밝혔다. 대통령이 직접 공원녹지 등 생태휴식공간 조성에 대해 언급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서두에 도시의 생활환경이 그 나라의 복지수준을 가늠하는 기준이라고 밝히며, 공원녹지 환경과 복지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했다.

 

도시에 기본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도심 내에 자연과 어우러지는 휴식과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느냐는 것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할 때라는 것이다.

 

또한 박근혜 대통령은 우리나라 1인당 도시 공원 면적이 뉴욕이나 파리의 70% 정도에 불과하다.”는 근거를 통해, 생태휴식공간의 확충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따라서 박 대통령은 공원면적 확충을 위한 정부 부서간 협업을 통해 시너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전달했다. 국민의 소중한 휴식공간 마련을 위해 정부가 최고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4일 국토부와 환경부는 합동으로 대통령 업무보고를 진행하였다.

 

국토부는 이와 관련해 국가도시공원, 근린생활권내 생활공원, 공·폐가 및 유휴지를 활용한 쌈지공원 등 다양한 동네 쉼터 조성’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이에 대한 기본계획인 생활공원 정비 5개년 계획(2014~2018)’을 수립하겠다고 발표했다. 더불어 공원과 녹지 등을 ‘생활인프라’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최저기준과 평가지표를 마련해 생활수준 격차를 해소시키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환경부는 도시의 훼손·방치공간을 활용한자연마당’ 3개소를 상반기 중 착공하여 2017년까지 20개소를 조성하는 한편, 도시공원의 생태기능 증진을 위한도시 소생태계’ 13개소를 조성한다고 전했다.

 

산림청도 생활권 주변의 산림과 도시공원의 조성에 대한 협력체계를 국토교통부와 함께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가 도시공원과 녹지 구역을 결정하고, 산림청이 도시숲 조성과 관리사업을 실행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부 주도로 공원과 녹지관련 사업이 본격화되고 있지만, 국토부와 환경부는 이를 수행할 조경직을 단 1명도 선발하지 않았고 관련부서도 없다. 현재까지 선발계획도 수립하지 않은 상태이다.
_ 나창호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ch_19@hanmail.net

네티즌 공감 (1)

의견쓰기
choosk 환경부에서는 도시공원을 지정하고 이곳을 보존하고 안내키위한 일정자격이 노인일자리라도 만들어야 합니다.
2013-04-18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