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학회 ″대북 녹화사업 미리 준비해야″

‘한반도 통일대비 북한 녹화방안 모색 세미나’ 개최
라펜트l전지은 기자, 조한결 기자l기사입력2016-02-26

ⓒ조한결 환경과조경 기자

“통일의 시대, 조경과 환경분야의 대비가 급선무.”

지난 24일(수) (사)한국조경학회(회장 김성균) 북한사업분과는 ‘한반도 통일대비 북한 녹화방안 모색 세미나’를 현대힐스테이트 갤러리에서 개최했다.

이날 이만의 전 환경부 장관은 “조경, 한반도의 자원관리 차원에서 북한 녹화 프로젝트는 굉장히 중요하다. 동토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종자가 있고, 거기에서 형성될 수 있는 생태계가 있다. 세미나에서 가치 있는 해결책이 도출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성균 회장은 “최근 북한의 수소폭탄실험, 미사일발사 등으로 인해 남북관계가 어려워졌으나 이럴 때일수록 민간단체에서 정상적인 남북관계의 길을 찾고자 하는 노력은 더 중요하다. 북한은 불모지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조경분야가 발전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나은 북한의 미래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두가 미리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만의 전 환경부 장관, 김성균 (사)한국조경학회 회장 ⓒ조한결 환경과조경 기자

발제자로 나선 장광은 천안연암대 교수는 “민간차원의 대북 산림협력사업을 위해서는 북한 산림활쳬화의 주요 원인인 식량과 연료부족에 대한 대책을 동시에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의 면적은 1200만ha 정도로 그중 산림은 890~910만ha로 추정하고 있다. 그중 국립산림과학원의 자료에 의하면 2008년 기준 황폐산림이 284만ha이며,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는 2011년 기준 산림이 554만ha로 줄었다는 결과를 밝혔다.

북한의 산림 황폐화의 원인은 1976년 식량증산을 위한 ‘산지개간’, 겨울 난방을 위해 주변 나무들을 베는 ‘땔나무 채취’, 목재를 중국으로 수출하기 위한 ‘과도한 벌채’로 황폐화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북한은 2003년도부터 국제협력을 통해 일부 지역을 조림하는 사업들을 진행했고, 그중 모범사례를 들어 2012년 ‘임농복합경영방식’을 도입했다. 이 방식은 농업, 임업, 환경보호 세 가지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대표적 모델로, 북한은 2023년까지 총 250만ha, 산림만 150만ha를 조림하겠다는 계획이 잡혀있다.

그러나 2023년까지 잡은 계획 중에 경제림(식용, 약용, 목재, 연료 등 다양한 기능)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묘목이 47억 개가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오며, 이를 위해 한국에서는 민간차원에서 대북 산림협력사업을 준비해야 한다.

장광은 교수는 사례로 (주)수프로의 중국 섬서성 황토고원 녹화사례를 들며 “북한과 환경이 비슷한 중국 섬서성 황토고원을 녹화하고 양묘장을 구축했던 노하우를 토대로, 대북녹화사업을 진행할 수 있을 때 바로 착수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 미리 준비해 놓아야 한다”고 전했다.


장광은 천안연암대 교수, 김농오 (사)한국조경학회 부회장, 조명진 EU동아시아 전문위원 ⓒ조한결 환경과조경 기자

이어서 조명진 EU동아시아 전문위원은 ‘독일통일을 통해 본 한반도, 통일 시사점’을 주제로 발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와의 맞춤형 외교전략으로 통일을 이룩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농오 (사)한국조경학회 부회장은 “학회는 북한을 녹화할 수 있는 프로젝트가 있다면 적극 참여할 것”이라며 학회가 행정자치부에서 시행하는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지원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지원사업’은 비영리법인에게 매년 25억 총 150억 원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사업 유형 중 하나가 민족화해협력사업(남북교류, 북한주민·재외동포지원사업 등)이다.

아울러 김농오 부회장은 “정부지원을 받지 못하게 되더라도 대북 녹화에 관심을 갖고 실현시키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조한결 환경과조경 기자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
사진 _ 조한결 기자  ·  환경과조경
다른기사 보기
chkthink@naver.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