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바이오필릭시티 부산 국제 컨퍼런스’ 27일 개최

우리나라 최초 ‘바이오필릭시티 네트워크’ 가입 기념
라펜트l전지은 기자l기사입력2024-05-21

부산시는 국내 최초로 세계적 도시연합인 ‘바이오필릭 시티(생명사랑 도시) 네트워크’의 회원 도시로 인증받았다고 밝혔다.

 

바이오필릭 시티는 2011년 버지니아대학교에서 시작된 도시프로젝트로. 다양한 생명체와 사람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미래 도시모델을 말한다. 도시화로 인해 자연과 격리되고 있는 현시대 속에서 바이오필리아[생명체(bio)+사랑(philia)], 즉 생명 사랑이라는 개념을 도시계획에 접목한 방법론이다.

 

‘바이오필릭 시티 네트워크’는 바이오필릭 시티 구상을 지향하는 세계적(글로벌) 도시연합으로. 현재 13개국 31개 도시가 회원 도시로 활동하고 있다. 이번 인증으로 회원 도시는 부산을 포함해 14개국 32개 도시가 된다.

 

이번 인증은 시가 부산을 시민이 살기 좋은 공원과 정원 속의 도시, 그리고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녹색 도시로 조성하고자 하는 의지와 성과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시는 ▲낙동강하구 국가도시공원 지정 ▲낙동강 국가정원 지정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맥도그린시티 조성 등을 추진해오고 있다.

 

이번 인증을 기념하기 위해 시는 기념행사로 27일 오후 2시 30분 시청 국제회의장에서 ‘바이오필릭 시티(생명사랑 도시) 부산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사)한국조경학회, (사)한국도시설계학회, 동아대학교가 주최한다.

 

이날 행사는 ▲박형준 시장의 환영사 ▲바이오필릭 시티 개념 정립자이자 바이오필릭 시티 네트워크를 설립한 티모시 비틀리 버지니아대학교 도시·환경계획과 교수의 인증서 전달식과 초청 강연 ▲국내외 전문가 종합토론회 등의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티모시 비틀리 교수는 이날 초청 강연에서 도시화로 인해 자연과 격리되고 있는 현시대 속에서 다양한 생명체와 사람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미래 도시모델인 바이오필릭 시티에 대해 설명하고 이러한 바이오필릭 시티 도시구상을 지향하는 파트너 도시의 우수사례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또한, 종합토론회에서는 여러 분야의 명망 있는 해외․국내 전문가가 참석해 미래 녹색도시로 시가 나아갈 방향과 전략 등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을 펼칠 예정이다.

 

100만평 문화공원조성범시민협회 공동운영장인 김승환 교수가 좌장으로 해외전문가인 ▲일본의 토다 요시키 토다랜드스케이프 대표이사 ▲중국의 시아티엔티엔 산둥건축대학 교수, 그리고 국내전문가인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위원인 최열 부산대학교 교수 ▲한국조경학회 상임이사인 안승홍 한경국립대학교 교수 ▲ HLD 이해인 소장 ▲ 안철수 시 푸른도시국장 ▲서진원 시 낙동강하구에코센터장이 패널로 참여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로 시는 부산이 국내 최초 바이오필릭 시티 네트워크 회원국으로 인증됐음을 국내외에 공표하고, 바이오필릭 시티 이념을 이어받아 미래세대를 위한 공원과 정원 속의 푸른 도시 부산을 조성하는 데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낙동강 하구 국가도시공원 지정과 맥도그린시티 조성사업 등의 도시계획 구상에 이를 적극 도입해 추진할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도시계획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시대”라며, “이번 바이오필릭 시티 네트워크 가입과, 국제 컨퍼런스 개최를 통해 바이오필릭 시티 네트워크의 여러 파트너 도시와 선진사례를 공유하며 상호 발전할 수 있길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포스터 / 
동아대학교 녹색융합기술 인재양성 특성화대학원 제공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
관련키워드l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