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경관 및 기능성 식재의 실제

매립지, 약초원...특수목적 맞는 식재방식 제시
라펜트l박지현 기자l기사입력2012-03-07

 

이 책은 그야말로 식재에 관한 종합정보서적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식재의 목적과 원칙과 같은 기본정보는 물론 식물로 조성할 수 있는 공간구성을 다양한 사례사진으로 쉽게 풀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통적인 장식적 식재와 경관구성용 식재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고, 환경복원과 생태적 식재와 같은 기능성을 갖는 식재방법도 함께 다루고 있다.
 

마지막 장에는식재의 실제라는 테마로 현재의 식재사례와 개선한 식재를 그림과 사진으로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지은이가 설명하는기능성 식재란 기존의 경관성 향상을 꾀하는 경관식재와는 달리, 주로 특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식재방식이다.

이에 속하는 식재의 종류는 방풍, 방음, 차폐, 투수성 포장용 식재, 비탈면 보호 및 복원, 매립지 복원, 하천 및 호소복원, 오감정원, 옥상녹화, 또는 약초원 등 이 있다.

 

이 책은 저자가 대학 강의물로 사용했던 내용, 발표한 원고나 설계 및 연구프로젝트의 일부가 포함되어있다.


기본 개념부터 활용 방법 등 식재에 관한 모든 자세히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실무자나 학습자들에게 유용하다.
또한 쉽게 풀어쓰고 있어, 관심있는 일반인도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

 

저자인 김혜주 소장(김혜주자연환경계획연구소)은 현재 환경부 사전환경성평가, 자연경관영향평가 심의위원,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겸임교수 등으로 활동 중이다.
 

건국대학교 농학사, 독일 베를린 공학박사를 취득했으며 삼성에버랜드 환경개발사업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도 근무하기도 했다.

 

목차

 

1. 왜 식재를 하는가?

-식재란 무엇인가, 식물 부위별 특성과 식재효과

 

2. 식재를 위하여 필요한 사전지식은 무엇인가?

-식물의 분류, 형태, 서식환경, 자생종과 외래종

 

3. 식재의 유형과 기본원칙은 무엇인가?

-세가지 식재법 소개, 식물의 미적특성과 조합의 원리

 

4. 면과 공간을 조성하는 식물은 어떻게 식재하는가?

-면 조성용 식물의 식재, 공간 조성용 식물의 식재

 

5. 장식적 식재는 어떻게 식재하는가?

-정형적인 장식적 꽃밭과 비정형적인 장식적 꽃밭

 

6. 기능성 식재는 어떻게 하는가?

-비탈면, 방음용, 하천, 옥상녹화 등 기능성 식재 소개

 

7. 식재도면은 어떻게 만드는가?

-평면도, 상세도, 2D, 3D

 

8. 기존의 식재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건물주변, 보도 및 차도, 공원, 기능성 식재의 개선 사례

 

지은이_김혜주 | 펴낸곳_도서출판 조경 | 발행_2012 3 | 정가_22,000 | 문의_(031)955-4966

박지현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lafent@lafent.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