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흑석지구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추진

마을주민 주체하여 맞춤형 계획안 수립
라펜트l서신혜 기자l기사입력2012-05-02

서울시는 4241차 도시재정비위원회를 개최해 재정비촉진지구 내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을 위해 시흥·흑석지구내 존치지역 일부의 제1종 지구단위계획()을 가결했다고 밝혔다.

 

시는 현재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의 시범사업으로정비(예정)구역 해제지역 2개소, ▲재정비촉진지구내 존치지역 3개소, ▲다가구/다세대 밀집지역 2개소 등 총 7개소를 추진중이며, 이 중 재정비촉진지구내 존치지역에 대한 시범사업은 이번이 첫 사례다.

 

현재 시는 마포구 연남동, 서대문구 북가좌동 등 정비(예정)구역 해제지역 2개소에 시범사업을 추진했고, 동작구 흑석동, 금천구 시흥동, 성북구 길음동 등 재정비촉진지구내 존치지역 3개소에 시범사업을 추진중에 있다.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은 마을주민이 주체가 되고 공공전문가가 함께해 마을 공통의 문제점을 찾고, 합리적인 의사결정과정 속에서 마을에 필요한 공공사업과 계획을 구체화하여 마을의 바람직한 관리방향과 미래모습을 제안하는 정비사업 방식이다.

 

‘주민워크숍’ 통한 마을여건에 맞는 맞춤형 계획안 수립

 

이번 시흥·흑석지구 주민참여형 재생사업 계획 수립에 있어서도 주민대표, 전문가, 자치구, 서울시가 함께 마을의 문제점 해결방안을 찾기 위한 체계적인 주민워크숍을 각각 6, 12회 실시했다.

 

시는 주민워크숍이 마을 조성에 대한 주민간의 교류를 촉진하고, 마을의 애착심을 키우는 등 주민 스스로가 마을의 문제를 진단하고 환경개선 운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참여의 장이 됐다고 밝혔다.

 

주민 편의·안전 확보를 위한 다양한 계획 추진

 

이를 통해 서울시는 마을의 특성과 주민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마을 전체 차원에서 필요한 통합적인 환경정비계획을 수립했다.

 

주민참여형 맞춤형 계획안의 주요 골자는 마을 내 커뮤니티를 위한 상징적 공간 조성, 보행안전을 위한 CCTV 설치, 테마가 있는 시설물 설치, 특화가로계획 마련, 주차장, 담장 등 환경개선 위한 디자인가이드라인 제시, 그린파킹사업 등이다.

 

먼저, 주민간의 화합·계층 간의 소통을 위한 커뮤니티 시설 등 마을 내 상징적 공간을 조성하고, 마을의 주요길에 테마를 부여하여 시설물을 계획하는 등 특화가로계획을 마련했다.

 

또한, 주요 길에 면한 필로티형 주차장, 담장, 옹벽 등의 민간부지에 대해서 통합적 환경개선을 위한 디자인가이드라인 제시와 그린파킹사업시 가구당 주차면수에 따라 차등 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향후 공사 착공 전까지 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주민협정을 위한 지침()을 마련해 민과 관이 상호 협력해가는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이 되도록 할 계획이다.

 

올해 9월까지 실시 설계 완료 후 내년 상반기까지 완료 예정

 

이번에 심의를 통과한시흥·흑석재정비촉진지구 내 주민참여형 재생사업 지구단위계획()’은 금년 9월까지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공공사업은 금년 내 착공해 내년 상반기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또한, 재정비촉진구역 내 양호한 저층주거지역은 공공시설 지원을 통해 마을의 경쟁력 강화와 마을공동체 의식 증진 등을 위해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을 년차별로 확대해 추진할 계획이다.

 

최성태 주택정책실 주거환경과장은시흥·흑석지구 사업은 재정비촉진지구내 존치지역에 대한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의 첫 사례인 만큼 시민들의 관심이 크기 때문에 주민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시흥 박미사랑마을 마스터플랜

 


동작 흑석동 숲마을 마스터플랜

서신혜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lafent@lafent.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