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11개 오염하천 개선사업 추진
매년 10개 선정해 개선해 나갈 것환경부(장관 유영숙)는 오염하천 개선을 위해 특화된 지원시스템에 따라 1단계로 11개의 오염하천을 선정해 2013년부터 본격적인 오염하천 개선사업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오염하천 개선지원 시스템은 그간 여러 수질개선사업들이 분산·추진됨에 따라 개선효과를 얻는 데 장기간이 소요됐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됬으며, 매년 10개 내외의 오염하천을 선정해 개선을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2013년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오염하천은 안성시 죽산천, 남양주시 홍릉천, 함안군 호곡․야촌천, 부산광역시 북구 대리천, 성주군 백천, 연기군 조천, 아산시 매곡천, 김제시 신평천, 익산시 익산천, 장성군 개천, 나주시 장성천 등 11곳이며, 4,624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2013년부터 집중 지원해 빠르면 2014년 늦어도 2017년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홍릉천, 대리천 등 도시지역은 하수관거 정비, 초기 오염빗물 처리, 생태하천복원 사업을 중심으로 개선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며, 죽산천, 백천, 개천 등 농촌지역은 가축분뇨처리시설, 축산지역 생태습지, 마을하수도 설치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수질개선사업 외에 공장, 축산농가 등 오염원에 대한 지도․점검 강화,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하천 감시·정화활동 등도 병행된다.
개선사업이 완료되면 대부분의 오염하천이 수질 2등급 이하인 “좋은 물(BOD 3㎎/L이하)” 수준으로 개선되고 생태계적으로도 건강하게 될 전망이다.
이를 통해 하류의 수질개선뿐만 아니라 친수활동 확대 등 지역주민의 건강한 삶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죽산천_육안으로 식별되는 하천오염상황과 인접한 축산농가 등 오염원(좌)/ 대리천_주거지를 관통하면서 하천으로서의 기능 상실(우)
조천_미차집 하수와 부적정 처리된 공장폐수의 유입으로 하천 수질 악화(좌)/홍릉천_복개지점 이후 자정능력이 상실된 하천상황(우)
- 서신혜 기자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lafent@lafen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