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최대 무허가촌, 도시개발 주춤
개포동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 추진예정서울시는 지난 20일 개최한‘제12차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도시개발구역 지정(안)을 조건부 가결시켰다고 밝혔다.
금번 결정된 구룡마을 도시개발구역 당초 입안된 279,085㎡에서 조사 누락된 일부 훼손지역 7,844㎡가 추가포함 되어 총 286,929㎡로 수정가결된 것으로, 이는 훼손된 공원지역을 원상회복하기 위한 구역경계 설정의 원칙을 지키고자 한 결정이다.
구룡마을은 1980년대 말부터 도심의 개발에 밀려 오갈 데 없는 사람들이 하나 둘 모여서 형성된 무허가 판자촌으로, 현재 1,242가구에 약 2,530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 마을은 항상 재해에 노출되어 있고, 오·폐수, 쓰레기 등 생활환경이 아주 열악한 지역으로 ‘서울에 남아있는 최대의 집단 무허가촌’ 이라는 오명을 갖고 있었다.
서울시는 SH공사 주도의 공영개발로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한다고 이미 밝힌 바 있으며, 이번 도시계획위원회에서 SH공사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하고 공영개발 사업방식을 확정하였다.
서울시는 개발과정에서 필요한 공사 중 임시 거주주택을 마련하여 현재 살고 있는 거주민들의 커뮤니티가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이후에도 마을공동체 사업과 병행하도록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조건을 부여하여 이에 대한 대책도 함께 마련해나갈 예정이다.
앞으로 현지 주민들과의 협의, 토지주 등에 대한 보상 등 많은 과제가 남아 있으나, 서울시는 주민, 토지주, 전문가 등과 협의체를 만들어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여 사업추진상 갈등을 최소화하도록 할 계획이다.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은 향후 협의체 구성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구체적인 개발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며, 토지보상계획 및 주민이주대책 등을 마련해 실시계획인가를 거친 후 2014년 말 착공하여 2016년 말까지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제원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이번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은 지금까지의 개발사업과는 달리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했던 시민들에게 쾌적한 주거환경과 현지 재정착의 기회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개발사업의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박지현 기자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lafent@lafen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