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운동장을 학습정원으로! 그린스마트미래학교 디자인, 어떻게 해야 할까?

경기도교육청, 경기형 그린스마트미래학교 디자인 북 제작·배포
라펜트l전지은 기자l기사입력2021-08-13

Berleley Unified School District / 경기도교육청 제공
 
전세계적으로 대운동장 형태의 기존 학교운동장의 변화에 대한 요구가 높다. 남녀, 연령 차이에 기인한 운동장 사용의 불균형, 전반적인 피지컬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 저하, 야외 학습 공간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와 요구가 운동장을 학습정원으로 전환하는 배경이 되고 있다.

학생들이 야외에서도 친교를 나누며 활동적으로 자연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해졌다. 이미 세계 곳곳의 학교에서 학교운동장은 연병장 같은 형태를 탈피해 ‘학습정원’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학교의 야외 공간은 풍부한 학습 환경을 제공해 실내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을 확장하고 심화할 수 있는 공간이다. 학교의 야외 공간은 단순히 스포츠 공간이 아니라 놀이와 스포츠 이외의 다양한 신체적 활동도 포괄하는 장소이자 사교의 장소, 보다 다양한 야외 활동의 공간으로 바뀌고 있다.

경기도교육청은 2023년 신축학교의 경우 기본적으로 학교 숲을 조성하도록 했다. 나아가 학교공간의 재구조화 과정은 기존의 획일적인 대운동장을 실외공간과 연결해 다양한 기능의 학습정원으로 가꿀 수 있다.

학습정원은 다양한 인지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생태정원과 관찰 학습정원, 자연주의 놀이환경, 야외 교실과 야외 작업장, 넓은 마당과 놀이 및 신체활동 구역, 휴식과 사교의 공간을 포함한다. 

학습정원과 학교숲 개념을 도입한 학교들은 담장 주변 식재를 바꾸어 조경요소가 운동장 중앙으로 들어오게 하고 다른 공간들과 어울리게 해서 그늘과 자연이 풍부한 공간으로 바꾸고 있다. 또한 다양한 바닥재와 재료를 사용해 야외 공간 시설들을 구성해 풍부한 인지와 관찰의 환경을 제공한다.

학습정원은 아이들이 주변 세계에 대해 이해하고 배울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공간이자 지역 사회가 함께 가꾸며 쉴 수 있는 생태적 공공장소가 된다.

그러나 운동장의 학습정원화는 필수적으로 축구장의 축소와 변형을 요구하므로 학생 수, 학교 부지 규모, 특별 체육활동 등 상이한 학교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해서 각 기능적 구역들의 면적과 비율을 정해야 한다.

그렇다면 학교운동장을 학습정원으로 재구조화 한다면 어떠한 공간들이 필요할까?

경기도교육청은 경기형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집 ‘미래학교 환경 조성 디자인 북’을 제작해 각 학교에 배포했다.

그린스마트미래학교는 2025년까지 40년 이상 노후 건물 보유 학교를 선정해 디지털·친환경 기반의 첨단 학교로 바꿔 다양한 미래형 교수학습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경기도교육청은 교육과정, 지역·학교 여건을 반영한 경기형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자료집에는 ‘학교운동장 학습정원화 지침’이 명시돼 있으며 크게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소규모 구역들로 분할 조성 ▲야외 창작, 창의 공간 조성 ▲안전 통제 능력 개발 ▲투수성 포장을 비롯한 다양한 바닥재 사용 ▲지역의 생태와 식생을 반영한 학교 숲(학습 정원) 조성 ▲계절적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지역 식물 조경 ▲다양한 형태의 운동장 가구 ▲후퇴(휴식, 대기) 지역과 햇볕과 비를 피할 수 있는 구역 ▲신체 활동을 촉진하는 비구조적 자연주의 놀이 기구 ▲중소 규모의 다목적의 펜스 구기장과 열린 공간 ▲야외 교실 조성 등을 소개하고 있다.

디자인 북에는 국내외 다양한 사례를 사진과 함께 소개하고 있어 그린스마트미래학교로의 변화를 꾀하려는 학교 현장에서 사전 기획 단계에 활용할 수 있다.

이밖에도 ▲공간 재구조화 ▲그린 학교 ▲스마트 환경 ▲학교시설 복합화 중심으로 경기형 그린스마트미래학교 개념과 비전을 설명하고 있다.

한편 디자인 북과 함께 경기형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의 이해와 참여를 돕기 위한 ‘미래학교 환경 조성 사업 안내서’도 배포했다. ▲사업 절차 안내 ▲사전 기획 절차 ▲사전 기획 단계에서 교사, 학생, 학부모(지역 사회) 역할 ▲사전 기획 진행 예시를 담고 있어 

이헌주 경기도교육청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추진단장은 “제공 자료가 미래 학교 공간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모으고, 특색 있는 경기형 그린스마트미래학교 공간을 만드는 길잡이 역할을 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현장 지원을 위한 안내·참고 자료를 그린스마트미래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꾸준히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기형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자료집은 경기도교육청 그린스마트미래학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Oakland. CA Community Design Outreach Prject Team / 경기도교육청 제공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