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알기쉬운 전통조경 시설사전
김영모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 편찬
—본문‘《알기쉬운 전통조경시설사전》을 내면서’中
저자는 공부하고 가르치면서 느꼈던 자료 부족의 한계를 절감했다고 한다. 이런 한계에서 출발한 이 책은, 현재 볼 수 있는 것은 물론 사료나 그림 자료에만 남아 있는 시설들까지 전부 담아 300여 시설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시 14개 영역으로 구분해 각 시설마다 지니고 있는 고유의 기능과 상징성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성했다.
진입시설에서는 문, 하마비와 하마석, 장승이나 솟대처럼 집이나 마을의 출입구에 설치하던 시설을 이야기한다. 시설이 가진 고유의 기능은 물론 시설의 설치 의미까지 들여다본다.
수경시설에서는 전통공간에서 여러 모습으로 보이는 연못의 역할과 의미를 형태별, 조성방식, 배치 형식 등으로 세분하여 자세하게 설명했다.
부록에서는 전통조경시설이 지닌 의미, 구성 원리를 상세히 알 수 있다. 먼저 ‘정원’이라는 말의 의미, 함께 쓰이는 용어들을 들여다보고 이어서 전통조경에 영향을 미친 사상과 각종 조각과 문양이 갖는 의미를 풀어냈다. 또한 각 공간 유형별 대표 건축물의 배치도와 함께 시설물의 위치를 표기해 자칫 놓치기 쉬운 시설을 쉽게 찾아보고 이해할 수 있게 했다.
이 책은 해당 시설을 볼 수 있는 실물 사진과 경우에 따라서는 도면이나 모식도와 같은 그림 자료를 함께 보여 제공했다.
또 옛 그림 자료를 많이 활용하여, 문헌에는 나오지만 현재 남아 있지 않은 시설들을 설명했다. 당시에는 중요하고 유용한 시설인데 임시 설치물이었거나 현재는 사용 가치가 없어 사라진 시설물이 대부분이다. 다행히 이런 시설들은‘동궐도’와 같은 옛 그림 자료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전통조경시설에 무엇이 있는지 각 시설이 담고 있는 의미는 무엇이고 상징하는 바는 무엇인지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알기쉬운 전통조경시설사전’은 우리 전통조경을 이해하는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지은이
김영모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전통공간의 구성 원리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서울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한국전통조경학회 부회장, 부여군 문화재위원, 서울시건설기술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공저로 ‘동양조경문화사’, The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가 있으며, ‘시 짓기와 원림 조영 방법에 관한 연구’, ‘신선사상에 영향 받은 조경문화의 전개양상’ 등 많은 논문도 있다.
차례
《알기쉬운 전통조경시설사전》을 내면서
진입시설
문 / 하마비와 하마석 / 마목과 홍마목 / 장승 / 솟대
가림시설
담장 / 차면담 / 면장 / 판장 / 취병 / 장과 막
포장시설
박석 포장 / 전돌 포장 / 흙다짐 포장
수경시설
폭포 / 곡수거 / 지당/ 샘과 우물 / 석지와 석조 / 수경보조시설
조경 구조물
석축 / 화계와 화오 / 다리
휴게시설
상 / 시렁 / 차일 / 누정
점경물
가산 / 받침돌 / 굴뚝
기간시설
당간과 당간지주 / 괘불지주 / 기죽석․외간 / 장
벽사시설
드므․부간주 / 석수
제례시설
판위 / 망례위․망료위 / 요단․예감․소전대 / 찬만대․성생단․계생대 / 관세대 / 제단
조명시설
정료대 / 장명등 / 석등 / 이동식 조명기구
기타시설
품계석 / 가석, 폐석 / 하련대 / 편석 / 석년 / 봉발대 / 수표 / 금표와 황장금표
부록
정원 / 전통조경에 영향을 미친 시상 / 조각과 문양 / 공간 유형별 시설 배치도 / 시설 모식도
지은이_ 김영모| 펴낸곳_ 도서출판 동녘| 발행일_ 2012년 4월 10일| 쪽수_ 332쪽| 가격_ 24,000원| 문의_ 031-955-3014
- 박지현 기자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lafent@lafen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