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 하늘아래 거의 모든 디자인”

美조경가협회, 올바른 조경역할 알리기 주력
라펜트l나창호 기자l기사입력2011-08-21

조경은 당신의 환경 그 자체입니다. 그것은 대학 캠퍼스, 도시공원이기도 하며, 병원마당, 지역 계획, 정원의 전부이자 그 이상의 것이기도 합니다. 조경가는 하늘아래 거의 대부분을 디자인하고 있습니다. –美조경가협회

 

세계적 권위의 미국조경가협회(이하 ASLA)는 현재‘Landscape Architecture – Your Environment. Designed.’이란 테마아래 올바른 조경역할 알리기에 주력하고 있다.

 


웹페이지(www.asla.org/design/)

 

그동안 ASLA는 지속가능한 조경(저탄소), 역사경관, 커뮤니티 공간 등 사회적 이슈와 조경의 역할이 접목된 테마를 설정해, 협회의 주요사업으로 부각시켜왔다.

 

이 중에는 지속가능한 조경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대표공원 20선에 대한 자료(www.asla.org/sustainablelandscapes)와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한눈에 보기 쉬운 재미있는 사례연구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한 흐름의 연장선에서 ‘Landscape Architecture – Your Environment. Designed.’은 조경분야가 수행하는 활동의 실제를 압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ASLA는 조경의 역할과 흐름에 대한 다양한 내용을 하나의 웹페이지 속에서 일러스트와 함께 경쾌하게 풀어내고 있다.

 

웹에서 ASLA상징공간 뿐만 아니라, 캠퍼스광장, 공원, 개인 및 공공정원, 도시농장, 병원조경 등 모든 공간을 조경으로 정의하고 있다고 밝히며, 실제 조경이 하고 있는 프로젝트들의 사례들을 아래와 같이 하나하나 나열해 놓고, 관련 사례로 접속할 수 있도록 링크시켜 놓았다.

 

실제 조경이 수행하는 프로젝트

-클릭하면 관련 웹페이지 이동

 

School and college campuses

Corporate and commercial grounds

Public gardens and arboreta

Historic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Hotels, resorts, golf courses

Hospital and other facility sites

Interior landscapes

Land planning

Landscape art and earth sculpture

Monument grounds

Parks and recreation

Land reclamation and rehabilitation

Residential sites

Security design

Streetscapes and public spaces

Therapeutic gardens

Transportation corridors and facilities

Urban and suburban design

Water resources

 

협업이 강조되는 분야 역시 조경이라고 ASLA는 말한다. 조경은 건축, 도시설계, 엔지니어링과 많은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심지어 의류업체, 포스터 디자인 업체 등과도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가 뉴욕의 하이라인 프로젝트로서 조경가를 중심으로 건축가, 엔지니어들이 공동으로 작업하였다. 그 밖에 조경은 토양, 의료, 역사 등의 다양한 전문분야와 손을 잡고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고 했다.

 

특히 재미있는 것이 웹페이지에 단순히 조경의 역할설명 외에, 실제 조경스케치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보여주는 동영상도 함께 제공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전문가로서 조경가의 중요성을 우회적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영상에선 공공가로를 설계하는 조경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거리에서 시민들의 의견을 구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이렇게 ASLA조경의 본질적 접근부터 이를 둘러싼 다양한 환경에 이르기까지 조경의 다양한 표정을 새로운 방식을 통해 선보이고 있다. 그들의 실천전략은 오늘의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우선 조경분야가 수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들에 대한 계량화된 연구분석과 다양한 프로젝트 사례조사가 제시되어 있다는 점이 강조된다.

 

그동안 ASLA는 사회적 흐름과 조경을 결부시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결국 지금까지 미조경가협회가 추구하며 진행해왔던 넓은 스펙트럼의 연구결과가 조경의 역할을 정립하는 중요한 소스원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사업운영의 묘를 느낄 수 있게한다. 오랜시간 긴호흡으로 구성과 실천을 고민해 왔다는 점도 눈에 띤다.

 

종합적으로 미조경가협회가 보여주는 일련의 행보는 조경의 정체성확립과 무관하지 않는 듯 보인다.

 

조경가의 일은 단순히 최종 계획을 짜는 것이 끝이 아니다. 조경가는 다양한 공종을 조정하고, 사이트를 조사하며, 수치적인 데이터를 뽑아내는 등 공공공간 전반을 운영하는 넓은 범주의 일을 하고 있다 ASLA의 표현에서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를 보다 명확히 읽을 수 있었다.

 

조경가는 하늘아래 대부분을 디자인 한다(Landscape architects design almost anything under the sky)’ ASLA의 주장이 타당하게 들리는 이유도 일관된 흐름과 맥락아래, 객관화된 자료조사와 같은 실질적 근거가 든든하게 뒷받침되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자료: www.asla.org/design/


_ 나창호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ch20n@paran.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