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도심숲으로 변화된 매립지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라펜트l신혜정 기자l기사입력2016-07-20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수완나품(Suvarnabhumi) 국제 공항으로부터 약 6km 떨어진 PTT 메트로 포레스트 숲은 방콕 동쪽 변두리 프라웩(Prawet) 외곽 지역에 위치해 있다. 

생태재생프로젝트로 진행돼, 현재 이곳은 방문객들에게 산림 생태계에 대한 교육과 환경에 대한 의식을 향상시키는 장소가 됐다.

대상지는 2헥타르 규모로 버려진 땅이였다. 우선 불량 토지를 매립하고, 오래 전부터 낮은 저지대에 식생하던 열대수종을 통합했다. 이후 방문객들을 위한 공간과 자연적으로 형성된 다이나믹한 공간으로 구성되어 도시 열섬과 홍수 등을 막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2012년 초, PTT 재조림 연구소에 의뢰하여 조경설계에 들어갔다. 초기에는 버려진 대상지가 대부분 불법 투기된 쓰레기장으로 사용되고 있어 새로운 토양으로 매립해야만 했다. 숲 재생에 필요한 지형들을 분석하면서 영감을 받은 조경가들은 새로운 지형을 구상하게 됐다. 

왕족에게 숲 책임을 인정받은 조경팀은 방콕의 옛 풍경을 반영시켜 생태적으로 교육과 놀이를 위한 공간을 만들고자 노력했다. 초기식재에는 19C 중반, 라마 III & IV 시대에 주로 사용되던 묘목을 사용했다.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설계 & 구현 Design & Implementation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공사는 2013년 5월부터 시작됐다. 토목공사에 대략 37,000 cu.m 토양이 도입됐고, 새로운 도시숲을 만들기 위한 식재 토양은 대략 6,000 cu.m을 사용했다. 

매립된 지형은 비교적 작은 공간에도 다양한 미세 생태계를 창조했다. 아키라 미와야키 박사에 의해 개발된 묘목 재배기술로 저지대 열대수종에 최적화된 생육환경을 구현해 다양한 산림 생태계를 만들었다

조경가-생태계-계약 업체간 협력관계를 통해 이뤄진 설계, 공학, 건축으로 매립된 지형에 압축이 이뤄지고 다공성 상태로 변화됐다. 초기 매립에 사용된 매우 비옥한 유기 토양은 저지대 열대 수종에게 적합했다. 이후 조심스럽게 수목 레이아웃에 맞춰 분류했다.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수목은 생육환경에 따라 식재됐다. 예컨데 바다독나무(Barringtonia asiatica)와 같이 해수에 생육하는 종은 운하를 따라 심었고, 습지환경에서 생존가능한 종은 강기슭 가장자리를 따라 심겨졌다. 마운딩된 매립지에는 낙엽수와 저지대 열대수종 등을 다양하게 혼합 식재했다.

숲의 미관을 위한 이식작업은 새로운 생태계의 증추적인 기능과 수종의 다양한 변화를 줬다. 방콕의 콘크리트 정글로부터 벗어나 야생에서 몇 시간 보내고 싶은 방문객들에게 은둔의 숲이 되어준다.

수목이 성숙한 후에는 숲가꾸기를 통해 하층 식생을 관리할 계획이다. 스카이워크와 전망대는 성숙한 수목을 볼 수 있는 확 트인 시아를 제공하며, 숲의 교란을 최소화시킨다.

279종 이상의 60,000 그루가 대상지 전반의 약 75%에 식재됐다. 50cm 간격 또는 평방 미터 당 4그루의 수목이 밀집되어 있는 매립지가 자연스러운 숲이 될 수 있도록할 방침이다. 남은 식재 지역에는 전시 센터와 주변 오픈 스페이스 지역을 조성하고, 일부는 오픈된 경관과 시아를 컨트롤 하도록 드문드문 식재를 했다. 

식재디자인은 그늘, 수분량, 영양 수준 등을 모니터링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간에 수목을 배치했다. 대상지 유지보수는 숲 자체가 스스로 운영할 수 있도록 방치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예측 모델링을 통해 숲을 제어함으로써 다음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프로젝트로 시행할 예정이다.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스카이워크, 타워, 전시장 등에 의해 폭포와 개울 지형이 형성됐다. 대상지는 또한 동물들을 위한 서식지와 방문객들을 위한 관찰장소가 됐다.

내부에서 외부까지 다져놓은 조형물의 확장을 유도한 조경가와 태국에서 환경관리의 중요성과 산림관리의 공공적 인식을 준 PTT 재조림 연구소에 의해 진행된 이번 프로젝트는 공공을 위한 진정성 있는 봉사활동 책무에 대해 LEED 플래티넘 NC를 받았다.

스카이워크와 전망대를 따라 지상에서 숲을 바라보는 새로운 경험은 방콕에서 이전에는 결코 볼 수 없었던 모습이다. 풍경이 강조되던 전형적인 아시아풍 정원에서 벗어나 미래를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이다.

설계자는 "야생환경 내에서 색다른 경험을 하는 것은 뒷마당에 수목을 심고 자신만의 작은 숲을 만드는 도시인들에게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본 프로젝트는 로사 바바상(Rosa Barba Prize)의 최종 우승작으로, 수상작들은 9월 29일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조경국제 비엔날레'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LAB Landscape Architects of Bangkok
_ 신혜정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ssinkija@naver.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