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EU, 기후행동 협력한다···비정부주체 역할 필요해
유럽연합, 240만 유로(한화 약 31억) 규모 기금 지원라펜트l전지은 기자l기사입력2019-03-10
주한유럽연합 한국대표부는 비정부 주체의 기후행동 강화를 위한 ‘한-EU 기후행동 협력사업’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번 사업은 한국 국내는 물론 한국과 유럽연합 간의 네트워킹, 정책 대화와 도시간 협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이해당사자간의 기후행동 강화 및 네트워크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향후 3년에 걸쳐 이행되는 이 사업은 현재 유럽연합이 추진 중인 배출권거래제, 도시간 협력 및 파리 협정 이행 사업 등을 보완하고 기후행동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방침이다.
사업의 예산은 240만 유로(한화 약 31억 원)이며, 유럽연합의 전략적 파트너십 기금에서 지원된다.
유럽연합과 한국 등 195개의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은 파리협정에 따라 지구 온도 상승폭을 2°C이내로 유지하고, 나아가 1.5°C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한국은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까지 확대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치 대비 37%로 감축할 계획이다. 유럽연합 또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 40% 이상 감축하는 한편, 재생에너지 비중과 에너지 효율은 각각 32%, 32.5% 로 개선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제이콥 베르크스만 유럽연합 기후변화총국 기후변화 국제정책 수석 고문은 기조연설에서 기후행동 강화 및 파리 협정 이행에 있어서의 비정부 주체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지금은 한국과 유럽연합 등 파리협정을 비준한 모든 당사국들이 가열 차게 자국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상향하고 이를 이행해야 할 때”라고 말하면서, 유럽연합은 최전방에서 기후변화 행동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유럽연합은 기후변화 장기 전략에 대한 비전을 수립하기 시작했다”며, “모든 관련 이해관계자들은 이를 ‘기후 중립적 경제’로 더욱 빠르게 전환해야 한다는 강력한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EU 기후행동 협력사업’은 한국과 유럽연합의 기업을 포함하는 비정부 주체간 협력을 증진함으로써 양 국의 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과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에 기여하기 위해 발족했다. 컨퍼런스, 워크숍, 초청연수, 공동 연구 및 시범사업 등 사업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협력 기회는 사업팀 웹 사이트(www.climateaction-korea.eu )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글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