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국내 최초 탄소배출저감 콘크리트

개발탄소배출량 40% 감축한 콘크리트 개발
라펜트l손미란l기사입력2010-01-13


대우건설은 지구온난화 등 환경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위해 국내 최초로 탄소배출저감 콘크리트를 개발, 실용화했다.

대우건설 기술연구원이 개발한 탄소배출저감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주원료인 시멘트 대신 화력발전소와 제철소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플라이 애쉬(Fly Ash)와 고로 슬래그(Blast Furnace Slag)를 다량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매트콘크리트 보다 시멘트 사용량을 40%이상 줄였다.

콘크리트의 주원료인 시멘트는 생산과정에서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7%에 해당하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해 지구온난화를 부추기는 주요 오염원 중 하나로 지적돼 왔다. 시멘트는 1톤을 생산할 때 약 0.9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콘크리트의 경우 콘크리트 1㎥ 당 219㎏의 시멘트가 소요되는데, 이번에 개발된 탄소배출저감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1㎥ 당 131㎏의 시멘트만을 사용함으로써 시멘트 사용량을 88㎏ 줄이게 됐다. 이로써 콘크리트 1㎥ 당 약 79㎏의 이산화탄소 발생 저감 효과를 거두게 됐으며, 이는 소나무 28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과 맞먹는다. (*국립산림과학원 추산 소나무 1그루의 1년간 이산화탄소 흡수량 : 2.8㎏)

대우건설은 이번에 개발한 탄소배출저감 콘크리트를 인천 송도 푸르지오 현장에 적용하여 약 1,933톤의 이산화탄소 발생이 저감되는 효과를 거두었다. 송도 푸르지오 현장의 이산화탄소 발생 저감량은 소나무 69만 그루가 1년 동안 흡수하는 이산화탄소양에 해당된다.

손미란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s-mr@hanmail.net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