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인공의 조화, 소쇄원 살피기

가천대 조경학도의 전통정원 답사기
월간 환경과조경l이예솔 통신원l기사입력2014-07-09




 

소쇄원은 전남 담양군 남면 지곡리 123번지에 소재 하고 있는 우리나라 대표 정원이다.

 

전체면적은 1,400여 평에 불과하지만, 조성된 건축물과 조경시설물은 상징적인 의미를 가질 뿐 아니라 절묘하게 자연과 인공이 조화를 이루며 조선시대 선비들의 심상을 오롯이 보여주는 공간이다.

 

오곡문
오곡문은 담 밑의 구멍으로 흐르는 계곡물 바로 옆쪽에 있던 협분 형식으로서 담 밖의 영역과 담 안의 영역을 이어주는 문이었지만 현재는 그 자리가 구멍만 뚫려있는 정도로 남아있다.

오곡문은 물의 흐름을 끊거나 바꾸지 않고 자연 그대로에 세운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다.

 

애양단
애양단은 겨울철 북풍을 막기 위하여 세운 단으로, 손님을 맞는다는 대봉대 바로 뒤편에 위치한다. 높이 약 2m의 담장이 ‘ㄱ’자로 둘러져 남서향을 하고 있으며, 추운 겨울철에라도 볕이 따사롭다.

또한 애양단은 공간이 지닐 수 있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성격을 담고 있는데, 황량함을 담장으로 막아 공간감을 주고 햇살이 담에 비치게 하여 따뜻한 질감을 준다.

 

담장
소쇄원 몇 개소에는 담장이 둘러져 있는데 이들은 외원과 내원을 구분 짓는 경계다.

입구에서 북동쪽을 향해 애양단까지 약 33m 애양단에서 북서쪽 방향으로 오곡문을 지나 매대까지 약 20m, 이 곡으로부터 남서방향으로 제월당까지 약 20m되는 ‘ㄷ’자형의 담장이 축조되어있다.
흙과 돌로 된 담장은 그 위에 기와가 덮여 방어를 위한 폐쇄적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골바람을 막아주고 영역의 한계를 지어주는 역할을 한다.

 




 

제월당
소쇄원의 핵심공간인 제월당은 정자라기보다는 정사의 성격을 띠는 건물로, 주인이 거처하며 조용히 독서하는 곳이었다.

당호인 ‘제월’은 ‘비 갠 뒤 하늘의 상쾌한 달’을 의미하며, 건축형태는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인 팔작지붕의 한식 기와건물이다.

 

광풍각
광풍각은 소쇄원의 하단에 있는 별당으로, 양산보가 계곡 가까이에 세운 정자다. 정면 3칸, 측면 1칸 전후퇴의 팔작지붕 한식 기와건물이며 손님을 맞이하던 공간이라고 한다.

 

대봉대
사방 1칸의 초가지붕으로 되어 있는 현재의 초정 대봉대는 1985년경에 재건된 것이다.

대봉대는 귀한 손님을 맞기 위해 대를 쌓고 정자(소정)를 지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대봉대는 좋은 소식을 전해준다는 ‘봉황새를 기다리는 동대’라는 뜻이 함축되어 있다. 그래서 그 곁에는 봉황새가 둥지를 틀고 산다는 벽오동나무와 봉황새가 열매를 먹는다는 대나무를 심었다.

 

소쇄원을 둘러본 후 가천대 조경학과 재학생 김기욱은 “소쇄원은 한국의 대표 별서정원답게 그 특징이 잘 드러나 있는 것 같다. 별서란 선비들이 자연에 귀의해 은거 생활을 하기 위해 지어진 곳인데, 소쇄원은 주위의 모든 것들이 자연이다. 앞으로 조경분야는 이런 한국정원의 특성을 잘 살릴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2학년 김주영은 “원래 있던 물길을 막지 않고 담장을 쌓은 오곡문이 가장 인상적이며, 자연을 거스르지 않는 인공물들이 한국전통정원의 특성을 잘 살린 것 같다. 소쇄원을 둘러보면서 현대조경의 무분별한 자연훼손을 반성하게 되었고 앞으로의 조경은 보다 자연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방향이 되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글·사진 _ 이예솔 통신원  ·  가천대
다른기사 보기
rhys95@naver.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