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부 소망, 두드리면 열린다
서울시농업기술센터 도시농업 프로그램 연중 실시서울시는 서울 서초구 내곡동에 위치한 서울시농업기술센터에서 도시농부의 꿈을 이뤄주는 다양한 ‘도시농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16일(화) 밝혔다.
서울시농업기술센터에서는 도시농업의 시초로 평가받는 ▴텃밭농원 사업부터 도시민이 농업을 배우고 체험하는 ▴그린투어(서울농업체험) ▴어린이자연학교 프로그램, 더 나아가 귀농을 희망하는 도시민을 위한 ▴전원생활교육 ▴맞춤형 귀농교육을 연중 실시하고 있다.
서울시농업기술센터는 2005년에 지자체 최초로 ‘도시농업팀’을 신설해 타 기관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서울시농업기술센터가 1992년에 전국 최초로 시작한 ‘텃밭(주말농장) 가꾸기’는 현재 전국적인 여가생활로 자리 잡았다.
농업기술센터는 그동안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텃밭유형을 다양하게 개발해 ▴텃밭농원 ▴실버농원 ▴다둥이 가족농원 ▴옥상농원 등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농원 64개를 운영하고 있다.
실버농원
어린이 체험교실
센터는 도심 속에 있는 건물 옥상에서 눈으로만 즐기는 ‘옥상정원’이 아니라 직접 농작물을 키우면서 맛볼 수 있는 「옥상농원」은 2009년도에 센터 옥상에 설치해 모델을 개발하였다. 2010년부터 올해까지 어린이집, 복지관 등 40개 다중이용시설에 옥상농원을 시범적으로 보급했다. 2012년엔 25개소를 신규로 조성해 총 65개소의 옥상농원을 운영, 도심환경개선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농업기술센터는 내년에 초등학생들이 농업을 체험할 수 있는「농업체험 교육농장」20개소를 학교에 시범적으로 조성해 텃밭유형을 확대할 계획이다.
농업기술센터는 전원생활은 물론 귀농을 희망하는 시민을 위해서는 ▴전원생활교육과 ▴맞춤형 귀농교육을 무료로 운영하고 있다.
2004년 4월 시작한「전원생활교육」은 지금까지 1,500여명의 수강생이 다녀갔다. 처음 2년간 한해 2개 반으로 운영하던 교육은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2008년엔 직장인을 위한 주말반 개설, 2009년엔 6개 반으로 확대하면서 인기강좌로 자리 잡았다.
「맞춤형 귀농교육」은 귀농을 희망하는 시민이 귀농 후 도시로 U턴하는 현상을 막고 안정적인 정착을 돕기 위해 준비부터 정착까지 도움을 주는 종합적인 교육이다. 2009년 처음 시작했으며 2010년 수료자 91명 중 33%에 해당하는 30명이 귀농정착에 성공했다.
신면호 서울시 경제진흥본부장은 “하반기에는 김장채소를 심는 텃밭농원 개장과 수확의 계절인 가을을 맞아 농업체험을 하는 그린투어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도시농업 프로그램들을 개발해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전원생활교육
옥상농원
- 나창호 기자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ch20n@par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