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 속의 전남’ 만들기, 5월은 이팝나무

희고 깨끗해 눈부실 정도로 아름다운 꽃 피워 가로수 인기
라펜트l신혜정 기자l기사입력2016-05-10
전라남도는 ‘숲 속의 전남’ 만들기와 연계하여 매월 경관 및 소득을 고려해 수종을 선정하는데, 5월의 나무에 이팝나무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팝나무는 키가 20~30m나 자란다. 5월 중순 파란 잎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새하얀 꽃을 가지마다 소복소복 뒤집어쓰는 보기 드문 나무다. 수형과 꽃이 아름답고 병충해에 강해 가로수, 조경수로 많이 활용된다. 물푸레나무과 낙엽활엽 교목으로 5월에 피는 꽃은 20여 일간 향기를 자랑한다.

이름에 대해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조선 시대에는 벼슬을 해야 비로소 이 씨인 임금이 내리는 흰 쌀밥을 먹을 수 있다 하여 쌀밥을 ‘이(李)씨의 밥’이란 의미로 ‘이밥’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하얀 꽃은 가느다랗게 넷으로 갈라지는 꽃잎 하나하나가 마치 뜸이 잘 든 밥알같이 생겨 ‘이팝나무’라고 불렀다는게 첫 번째 설이다.

두 번째는 꽃이 피는 시기가 대체로 음력 24절기중 입하(立夏) 전후이므로, 입하 때 핀다는 의미로 ‘입하나무’로 불리다가 ‘이팝나무’로 변했다는 설도 있다.

조상들은 이팝나무를 대부분 마을의 정자목이나 신목(神木)으로 심었으나 꽃과 수형이 아름다워 지금은 가로수로 많이 심었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에는 많이 자생하고 있지만 세계적으로는 희귀종이어서 우리나라에서는 거목 17그루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했다가 현재는 8그루만 남아 보호되고 있다. 전남지역에 2그루가 있다.

순천에서 주암으로 가는 22번 국도를 달리다 보면 흰 쌀밥의 황홀경을 안겨주는 승주읍 평중리 이팝나무는 국내에서 키가 제일 크고 아름다워 가장 먼저 천연기념물 제36호로 지정됐다.

400~500년 된 나무들 군락으로 이팝나무 꽃이 환상 그 자체인 광양읍 인동리 유당공원 이팝나무는 천연기념물 제235호로 지정됐으며, 수령은 약 400년 정도로 추정된다.

그 밖에 나주 봉황면 용곡리 월곡마을 이팝나무는 식재자가 알려진 나무로 500여 년 전 심어진 것으로 전한다.

곡성 입면 내동리 마총 입구 이팝나무, 화순 도곡 온천단지 입구 천암리 백암마을 숲정이 등에서도 아름드리 이팝나무 꽃의 황홀경을 감상할 수 있다.

전남에서는 그동안 이팝나무 6만 4천여(551㎞) 그루를 가로수와 공원수로 심어져 관리되고 있다. 광양 유당공원에서 동광양 IC구간, 나주대교에서 영산대교 구간 강변 우회도로, 순천 주암 IC에서 주암면사무소 구간의 가로수가 아름답다.
_ 신혜정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ssinkija@naver.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