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업활성화, 2020년까지 도시농지 8천곳

246개 지자체, 도시농업공원 각 1개소 이상 조성
라펜트l나창호 기자l기사입력2011-06-08

정부는 6 8()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개최되는 제11차 녹색성장위원회 보고대회에서 ‘Green 도시농업활성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보고서에는 2020년까지 도시텃밭과 주말농장 8000개소(3000ha)를 조성하여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10%(500만명) 이상을 참여시킨다는 도시농업 활성화 계획이 들어있다.

 

정부는 도시농업육성법 제정, 도시농업 포털사이트 구축 등 도시농업 기반구축을 위한 인프라와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잡아놓고 민간중심에 ‘Green-city 시민운동으로 도시농업을 확대발전시킬 방침이다.

 

도시텃밭 7200개소 조성

건물옥상, 유치원·학교 등에도 교육목적의 텃밭 7200개소(2700ha)가 신규 조성된다. 정부는 오는 2020년까지 옥상농원, 스쿨 팜, 공공형 텃밭형태의 도시텃밭을 만들 계획이다. 여기서 공공형 텃밭이란 다자녀, 다세대, 다문화 가정 등을 위한 텃밭을 말한다.

텃밭운영은 지역공동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지자체는 지역특성에 맞는 텃밭기준을 마련한 후, 등록과 사후관리를 맡는다.

 


 

도시농업법 하위법령까지 금년 중 제정

금년 중에는 도시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하위법령의 제정이 마무리 될 계획이다. 법률에는 도시농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도시농업위원회 구성, 기술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등이 명문화 된다. 이 중 도시농업위원회란 중앙행정기관, 학계, 민간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된 도시농업 정책 심의기구를 말한다.

현재 16개 지방자치단체에만 제정되어있는 도시농업육성에 관한 조례 2015년까지 전국 246개 시·도 및 시··구에서 제정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이 지속될 방침이다.

 

도시농업 포털사이트 2013년 오픈

인터넷 웹에서 경작 희망자와 토지소유자를 연결하는 도시농업 포털사이트 2013년에 개설된다. 정부가 텃밭소개부터 신청계약에 관한 제반사항까지 인터넷을 통해 지원한다. 기자재 소개 및 구매처 안내, 텃밭 관리 및 작물재배 요령, 참여후기 및 텃밭운영 모습, 도시농업전문가 소개 정보도 인터넷으로 제공된다.

 

도시농업공원 자치단체별 1개소 조성

정부는 오는 2020년까지 도시농업공원을 지자체별 1개소 이상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존 공원의 일부를 영농공간으로 설정하는 리모델링 방식과, 도시민 농업체험 시설을 새롭게 조성하는 방법을 병행하여 조성할 계획이다.

 

건축물 녹화 연구개발 지원

정부는 건물의 옥상과 벽면, 그리고 방음벽 등의 인공지반녹화를 위한 녹화기술과 건축물 녹화에 적합한 식물 500여종 이상을 보급한다. 아토피 유발물질과 새집증후군 원인물질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 식물의 개발과 활용도 점증적으로 확대된다. 이와 함께 실내식물 관리정보가 담긴 DB구축으로 식물배치 기술과 스마트폰 모니터링 시스템을 널리 확산시킨다는 정부의 계획이다.

 

 

 

식물생산공장 기술개발 및 산업화

LED 기술을 활용한 첨단농업 식물생산공장 산업화를 위한 연구도 본격화 된다. 정부는 2010 1월부터 남극 세종기지에 컨테이너형 식물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연구용 식물공장도 지난 3월에 준공해 기술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오는 2012년까지 고부가가치 작물개발, 플랜트 표준화, 시장분석 등에 식물생산공장 산업화 계획을 수립 후 2013년에 시범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 밖에 도시농업을 리드하고 설계하는 민간전문가를 육성할 수 있도록 농과계 고교와 대학에 도시농업 특성화 과정을 운영(한국농수산대학 시범운영 , 2013)하고, 도시텃밭 운영 활성화를 위한 전국도시농업박람회, 도시농업 포럼 및 심포지엄도 개최할 계획이다.

 

정부는 도시에 도시텃밭·주말농장·농업공원을 만들어 쾌적한 녹색공간(Green space)이 조성되고, 도시빌딩 녹화와 식물생산공장의 산업화로 연관된 산업발전과 일자리가 창출될 뿐만아니라 도시민과 청소년의 정서순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도시농업의 기대효과를 밝혔다.

 


조성계획


나창호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ch20n@paran.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