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나무숲, 연간 이산화탄소 7.32t 흡수
승용차 3대의 배출 CO₂와 맞먹어라펜트l전지은 기자l기사입력2015-01-30

동백나무숲의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승용차 3대가 일년 동안 내뿜는 이산화탄소를 상쇄시킬 수 있는 양과 맞먹는다고 밝혀졌다.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은 국내 최초로 우리나라 난‧온대지역의 대표적 상록활엽수인 동백나무의 탄소저장량을 산정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동백나무숲(국제 규격 축구장 982개의 크기)의 이산화탄소 총 흡수량은 4868tCO₂다. 특히 동백나무숲의 연간 CO₂흡수량은 7.32tCO₂/ha(50년생 기준)로, 중형자동차(에너지소비효율 2등급 기준, CO₂162g/㎞) 3대가 일 년 동안 내뿜는 CO₂를 상쇄시킬 수 있는 양과 맞먹는다.
이번 연구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난대수종의 분포지역이 내륙으로 확대되고 있어 난대수종 중 많은 분포를 가진 동백나무가 얼마나 많은 온실가스를 흡수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국립산림과학원 강진택 기후변화연구센터 박사는 “기온 상승의 영향으로 식생대가 북상해 난대수종이 국토를 점유한다 하더라도 우리나라의 총 탄소저장 및 흡수량에는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면서 “온도 상승에 따른 기후변화 적응 수종의 개발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동백나무는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꽃이 피며, 꽃과 잎이 아름다워 관상수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게다가 열매에서 기름을 얻을 수 있다. 강진, 서천, 고창 등 남쪽지방에서는 일부 동백나무숲이 역사 깊은 사찰과 함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기도 했다.
- 글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