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 명승 200개 넘어야...

명승활용 위한 '거버넌스' 대두
라펜트l나창호 기자, 이형주 기자l기사입력2015-10-16


나명하 실장

 

"북한이 가진 명승도 200여개가 넘는다. 명승의 활용을 위한 기초로서 한국의 명승 지정 확대가 필요하다" 

 

나명하 실장(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은 15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문화 향유권 향상을 위한 명승 활용 전략마련 국제 심포지엄'에서 이렇게 밝혔다.

 

1970년 명주 청학동 소금강을 시작으로 지정된 명승은 111개이다. 그중 2000년대 이후 명승 지정된 명승이 103개다. 하지만 2014년 8월을 끝으로 현재는 명승 지정이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문제는 각 지자체마다 명승의 가치를 다르게 받아들인다는 점에 있다.

 

나 실장은 "명승은 하나의 보존 대상물을 지정하는 사적과 달리 면적인 요소가 강해 관광적 활용성이 높다."며 지역에서 개발의 반대급부로 잘못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순천만 사례를 놓고보더라도 명승으로 지정된 이후 관광객이 크게 늘었다는 것이다.

 


 

명승을 관광자원으로서 활용을 도모하기 위해 풀어야할 과제들도 도출되었다.   

 

박구원 교수(청주대)는 "명승에 대해 국민의 인식이 낮은 것은 이에 대한 개념이 불명확해서"라며 이미지의 모호함을 설명했다. 과거 우리나라는 관광의 개념으로 '경승유람'을 향유했고, 그 속에는 자연과 인간의 문화적 관계가 깃들어 있었다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명승은 하나의 독립적인 존재로 사람들은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각 명승마다 관심있는 관광객과 지역주민을 끌어올 수 있는 조직구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신용석 원장(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역시 명승 지정에 그치지 말고 지역과 함께 관리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고, 지금의 포괄적인 개념을 이어가기보다는 명승다운 그 무엇인가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이즈미 다이키 교수(한난대)는 2012년 제정된 일본의 '관광입국추진기본계획'을 소개하며 일본도 관광자원으로서 문화재를 적극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벌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지금까지 관광자원으로 신경쓰지 못했던 지역의 고유한 자원을 새롭게 활용하고, 체험적, 교류 요소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단순히 감상하는 차원을 넘어서 명승과 지역주민간의 관계에 '애착'이라는 부분을 부여해야 한다는 것으로 명승지정부터 관리까지 지역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참고로 일본은 378개의 명승이 지정되어 있으며, 그중 정원이 207건을 차지하고 있었다.

 

문화재청의 한정된 예산과 조직을 극복하기 위한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는  김현 교수(단국대)의 주장에도 무게가 실렸다.

김 교수는 "문화재청, 자치단체, 전문가, 지역주민을 주축으로 지역사회의 시민단체와 지역기업을 구성하되, 지역기반 관광관련 사업체와의 협력도 병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 교수

 


노재현 교수

 

'한국 명승 자원의 활용 전략'에 관한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있는 노재현 교수(우석대)는 "명승활용을 위한 전제로서, 명승의 입지, 이용행태, 가치를 고려한 유형화가 필요하고, 궁극적으로 명승 상용화를 위한 모듈 마련이 절실하다."라고 밝혔다.

 

중국의 맹상빈 교수(중국 농업대 원림학과)는 "보존과 이용사이의 이해가 필요하다"고 전하면서, 보호라는 명목아래 도시화의 진행을 배제하는 것은 공정하지 못하고, 원림의 보호와 도시의 발전이 대립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안된다고 밝혔다. 전통 원림문화를 차용하는 가운데 이를 도시에 적용해 완성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맹상빈 교수

 


이즈미 다이키 교수

 

_ 나창호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ch_19@hanmail.net
사진 _ 이형주 기자  ·  환경과조경
다른기사 보기
관련키워드l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