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디자인 아카데미 정원작품 모아보기

주제는 ‘흙 없는 한 뼘 정원’…총 7작품
라펜트l전지은 기자l기사입력2016-02-12
지난 5일, 서울 서부공원녹지사업소 안팎에 기발한 정원들이 모습을 드러냈다. ‘정원디자인 아카데미’ 1기생들의 작품들이다.

정원은 대상지의 공간적 어려움과 겨울이라는 제한적인 기후조건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실내 공간에 조성할 수 있는 ‘흙 없는 한 뼘 정원’을 주제로 했다. 가로 세로 2m를 넘지 않는 공간에 50만원이라는 예산으로 7개의 정원이 탄생했다.

이렇게 조성된 정원은 거실과 베란다 앞마당, 구불구불한 골목길, 담장과 자투리 땅, 버스 정류장, 지하철역사, 학교 복도, 고층 빌딩 아케이드, 서울 시청 로비, 호텔이나 백화점 로비 등 어디든 잘 어울릴 수 있다.

7개의 정원 중 최고정원디자이너상은 7조의 ‘STOP HERE’, 최고감각상은 4조의 ‘따로, 또 같이’ 정원이 차지했다.

그럼 정원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열정이 맺은 결실을 확인해보자.

1조. GARDEN STATION




대상지 : 서울 공항철도 터미널 지하 내부 환승구간

일상에 무감각한 현대인들에게 정원의 감각을 일깨우기 위해 ‘대비’를 통해 자극을 준다. 달개비와 골든레몬타임의 수직・수평요소, 포인세티아와 스킨답서스로 색채대비 식재, 마리안느의 큰 잎과 아디안텀의 작은 잎으로 질감대비를 이루었다. 지하철 통로 바닥에 손상을 입히지 않기 위해 바닥에 콘크리트와 점토블록으로 플랜터를 만들었으며 벽돌을 쌓음으로 다이내믹한 모양을 도출했다.


2조. OPEN&CLOSE




대상지 : 상자가 열릴 수 있는 공공의 장소

어떤 장소에 가슴까지 오는 하얀 상자가 있다면 어떨까? 공공공간 안에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할만한 구조물을 이용해 참여할 수 있는 정원으로, 1200×1200×1200㎜의 상자는 열고 닫을 수 있다. 상자를 열면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의자와 계단식 미니정원이 모습을 드러낸다. 하얀 상자정원은 합판과 각목을 이용해 구성하고, 바퀴와 경첩을 달아 서랍 형식으로 설계됐다. 상자는 90도까지 열리는데, 바닥에는 판석을 깔아 상자가 잘 열릴 수 있다. 식재는 색감이 아름답고 월동에 강한 식물을 선정했다. 


3조. The Garden of Sensible Art




대상지 : 공간과 공간이 이어지는 통로, 많은 사람들이 이동하는 로비, 지하철

삶의 수준이 높아지면서 정원과 예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됐지만 현대인은 시간을 내지 않는 이상 정원과 예술을 접할 수 없기에 일상적 공간에 정원과 예술을 접목한 수직정원을 설치했다. 바쁜 현대인들이 오가며 지나치는 통로공간이 그 타깃이다. 사람이 사물을 인식하는 것을 하나의 감각으로 보고, 무심히 지나치는 무감을 또한 하나의 감각으로 설정해 공감각을 통한 정원을 탄생시켰다. 벽면에는 못을 박고 현대인들이 빠르게 움직이는 모습을 선(실)으로 형상화했다. 색깔이 있는 실을 사용해 주며 리드미컬함을 표현했다. 이 실들은 나무를 형상화하며, 현대 일상의 각기 다른 공간이 연결되는 것을 상징한다.


4조. 따로, 또 같이(최고감각상)




대상지 : 나무기둥이 있는 곳

도시에서는 텃밭에 대한 수요가 큰 요즘, 텃밭을 이용해 휴게공간과 소통공간에 초점을 맞춘 정원을 조성했다. 평상을 도입해 소통하는 공간을 마련하고, 숲 속의 휴식을 모티브로 나무기둥과 그늘을 적용시켰다. 특히 사람을 시선을 끌고 한 장소로 모이도록 알록달록한 요소를 도입했다. PVC관을 재단한 후 도색해 쌓아서 물결모양의 조형물이 그것으로, 겨울에도 시각적 자극을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평상정원은 부지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5조. 모퉁이 충전정원



대상지 : 서부공원녹지사업소 지하 1층 계단참

도시 속에 살면서 스트레스를 수반하며 살고 있는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자연과 교감하며 감성을 자극하는 것을 들었다. 계단참에 위치하기 때문에 동선을 고려해 ㄴ형태의 정원이 탄생했다. 창밖으로 보이는 나뭇가지와 연속성을 주기 위해 작은 나무를 도입, 창밖의 자연을 실내정원으로 끌어들이고, 아파트가 보이는 또 다른 창에는 아파트 구조물을 상징하는 콘크리트 블록과 식물로 행잉오브제를 만들었다. 흙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행잉가든, 수경가든, 이끼가든, 플랜터가든을 활용했으며, 실내공간이기 때문에 식물정화식물을 도입했다.


6조. Slowalk




대상지 : 서부공원녹지사업소와 불광천 사이 보도

무의미하게 걷는 도로에서 사람들의 감각을 깨우기 위한 정원으로, 목재 팔레트를 재활용했다. 팔레트는 고독감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당신은 버려지지 않았으며 충분히 재탄생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팔레트를 이용해 수직벽면을 세워 다양한 식물을 밀식하고, 빨강과 초록의 색상대비를 주었다. 바닥은 흰 자갈, 로프, 거울 등 다양한 소재를 통해 재미있는 패턴을 넣어 표현했다. 특히 빨간 지붕 끝부터 레드스타를 이용해 바닥까지 빨간 대각선이 이어지도록 표현했다.


7조. STOP HERE(최고정원디자이너상)



대상지 : 하천 교량 하부

하천 주변에 조성된 산책로, 자전거도로와 연계한 정원으로, 정원에서 잠시 머물러서 쉬는 곳이다. 인간의 오감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시각을 자극하고, 어두침침한 대상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조명’을 사용했다. 주 재료는 PVC 파이프로, 공간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또한 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의도된 배수구멍으로 물을 유도할 수 있어 배수가 용이하다. 파이프는 다양한 형태로 잘라 패턴에 맞게 빛의 모양을 유도할 수 있다. 정원 한 켠에는 자전거 거치대와 벤치가 있다. 식재는 마삭, 송악 등으로 흘러내리는 듯한 식재를 연출했고 벤치에는 수호초, 율마, 맥문동이 자리하고 있다.
글·사진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