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정원의 의미와 현대적 활용 가치

논산 윤증고택을 통해 바라본 전통정원요소
라펜트l전효진l기사입력2016-06-16
전통공간에서 정원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사람들은 울타리를 쳐서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게 된다. 즉 영역으로써의 개인의 공간이 사유의 성격과 더불어 심미적 욕구를 만족시키고자하는 연장선에서 생겨난 것이다. 우리조상들은 자연을 마당의 테두리 안에 담기보다는 밖에 그대로 두었다. 이렇게 확실하지 않은 경계 속 공간에서 자연을 즐기고자 한 것이 우리 전통조경의 특징이다. 자연을 가까이 대했으나 섣불리 변형시키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전통주택은 뒤에는 구릉이 있고 앞에는 물이 흐르는 배산임수 지형에 입지한다. 따라서 주택의 후면 경사지에는 단 처리를 하여 화계나 후원이 조성되었으며, 주택 앞에는 연못이 도입되었다. 이처럼 전통정원은 자연의 생긴 모습을 그대로 차용하여 주거지 내부공간요소로 활용하였다.


윤증고택 전경, 사랑채에서 바라본 풍경

논산시 노성면에 위치한 조선중기 고택인 명재 윤증 고택을 보면 앞서 말한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윤증고택은 주변지세를 고려해 남향으로 입지했으며, 뒤 경사에는 화계를 조성했다. 물이 흘러 나가는 자리에 우물을 두고, 우물의 물은 곧 방지로 흘러들어가는 모습을 보인다. 결코 자연을 거스르지 않으며, 지형적 조건이 조경시설들의 입지를 결정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윤증고택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극대화 하는 장치를 가지고 있다. ‘차경’의 개념인데, 창이라는 액자는 살아 숨 쉬고 있는 아름다운 풍경화를 만들어낸다.

이렇듯 환경을 받아들이는 전통조경의 기본 이념은 현대의 친환경적인 설계와 연관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전통조경은 친환경적이며 그 속에서 아름다움까지 찾을 수 있다. 차경 같은 개념은 바쁜 현대인들에게 정신적인 여유와 휴식을 제공하기도 한다.

현재 조경시장에서는 ‘자연을 생각하는’, ‘지속가능한 발전’, ‘생태를 고려한’과 같은 주제들이 대두 되고 있다. 이 해결의 실마리를 한국 전통 정원 요소들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_ 전효진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다른기사 보기
jjhj0722@naver.com
관련키워드l윤증고택, 전통정원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