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용산공원 콘텐츠 발굴’ 재검토
다양한 의견 수렴할 계획한국건설신문l주선영 기자l기사입력2016-07-14

용산공원 콘텐츠 발굴을 두고, 정부가 재검토 의사를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4월 ‘용산공원 콘테츠 검토안’을 공개하고 공청회를 진행했다가, 여론으로부터 ‘새 시설 부처끼리 나눠먹기’라고 집중포화를 맞은 바 있다.
이에 국토부는 지난 5일 용산공원 기존 건축물 활용 등을 위한 콘텐츠 발굴은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며, 2017년말까지 수립예정인 용산공원조성계획에 반영하기 위해 공청회, 전문가 자문 등 폭넓은 의견수렴과정을 진행중인 사안이라고 밝혔다.
또한 콘텐츠 검토는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2014)에 따라 공원내 1천200여동의 건물 중 근대건축물 등 보전과 활용이 필요한 건축물(80여동)의 재활용 차원에서 추진됐다고 덧붙였다. 지난 4월 공청회에 상정한 8개 콘텐츠(안)은 분야별 민간위원(조경, 역사·문화, 도시계획, 건축 등)으로 구성된 소위원회의 1차 검토 결과를 일반국민과 전문가 등의 의견을 듣기 위함이었으며, 콘텐츠에 대해 입지 결정을 확정한 것은 아니라고 입장을 말했다.
국토부는 공청회 후 다양한 의견이 제기됐고, 콘텐츠 발굴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중요성 등을 감안해 시간적 여유를 갖고 용산공원의 이념, 역사성 등과 조화를 이루는 콘텐츠를 신중히 선별하기 위해 각계각층의 의견을 면밀히 수렴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민 눈높이에 걸 맞는 세계적인 공원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앞으로도 용산공원추진협의회(시민단체, 서울시, 전문가 등 참여), 용산공원 홈페이지(일반국민 여론수렴), 대형공원 운영자 회의, 분야별 전문가 간담회 등 다양한 창구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5일 ‘민선6기,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용산공원 정부 개발안에 반대한다고 또 다시 입장을 밝혔다. 박원순 시장은 “용산공원을 민족공원으로 만들어 시민에게 돌려줘야 하며 공원 밖에도 공원과 어울리는 시설이 들어오도록 잘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 글 _ 주선영 기자 · 한국건설신문
-
다른기사 보기
rotei@conslov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