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가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식재″

[인터뷰] 조지 롱고리아 샌프란시스코 식물원 원예가
라펜트l전은혜l기사입력2018-09-20


샌프란시스코 식물원은 샌프란시스코의 최대 공원인 골든게이트 파크 내 남동쪽에 자리하고 있다. 식물원만으로도 55ac(22.3ha)에 이르는 큰 규모로, 모체인 골든게이트 파크(1017ac, 412ha)는 센트럴파크(840ac, 340ha)보다 20%정도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총 8500종이 넘는 식물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호주, 칠레, 뉴질랜드, 동남아 등 세계 각지의 식물들을 지역별로 전시 수집하여, 구역별로 배정된 소속 원예가들이 관리하고 있다. 

처음의 방문 목적은 자원봉사를 빙자한 자생식물관찰이었지만, 다른 도시에서 만나기 힘든 새로운 커뮤니티를 만나게 되어 이렇게 소개하고자 한다. 재능기부를 빙자한 무료 노동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시점에 작은 울림이 되길 바라며, 이 글은 모두 인터뷰로만 구성하였다. 구어체로 번역하여 일부 원예가와 정원가, 정원과 식물원의 혼용을 양해 바란다.



인터뷰이 – 조지 롱고리아(이하 GL)
Interviewee – George Longoria


EJ: 본인소개를 부탁드립니다.
Please introduce yourself.

GL: 저는 샌프란시스코 식물원의 원예가 입니다. 작년 4월부터 여기서 일해 왔고요. 토요일에 주로 그린팀과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동료인 올가와 함께, 격주로 그린팀을 담당하죠. 저는 남아프리카 정원과 뉴질랜드 정원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I am horticulturalist here in SF Botanical Garden. I’ve been here in April of last year (2017), so on Saturdays I typically have this green team. With Olga, we alternate every Saturdays. So she has them one week, and I have them one week.  My responsibility is South Africa and New Zealand. 

EJ: 이 일 하신지는 얼마나 되셨나요?
How long you’ve been doing this?

GL: 저에게 이 일은 두 번째 커리어예요. 원래는 소매업으로 Brooks Brothers브룩스 브라더스(남성복 브랜드)의 지점 매니저였어요. 거기서 14년 정도 일했고요, 총 20년 정도 판매 일을 했었죠. 식물 관련 일에 항상 열정이 있었기에 직업으로 하게 되었죠. 지금은 여기서 원예가로 일하지만 그전에는 봉사활동을 했었어요. 여기서 인턴을 하고, 수습과정을 거치고, 마침내 시 소속 원예가가 된 거죠. 이곳에 오기 전에는 다른 곳에서 근무했었는데, Buena Vista Park부에나 비스타 공원(http://sfrecpark.org/destination/buena-vista-park/)에서 일했어요. 그 이후에는 Harding Park하딩 공원(https://tpc.com/hardingpark)으로 발령이 났는데, 거기엔 골프장이 있었죠. 그래서 잔디에 관해서 배웠고, 골프장 관리에 관해서도 알게 됐죠. 그리고는 여기에 돌아오게 됐어요. 제가 인턴십 했던 곳으로 돌아온 건데, 이곳에서 일하는 것 자체에 대한 열의가 있었어요. 제가 좋아하는 일이라서요. 
I consider this as my second career. I was in retail before, a retail manager for Brooks Brothers. I worked with them about fourteen years, twenty years in retail in total. This(horticulture) has been always been my passion, so I decided to do it full time. So I worked as a horticulturalist, I volunteered here. I worked as an intern, and then I got hired as an apprentice, when I finally got hired by the city, I was hired in a different part, Buena Vista Park After there, I got moved to Harding Park, which is a golf course and so I learned a little more about the turf, and the maintenance of the golf course. Then I got asked to come back here, which is where I did my internship, and I am much more passionate about working here. This is just kind of what I like.

제가 인턴십을 할 시절에는 클로이가 일을 시작하기 전이었고, 좀 중구난방이었어요. 지금은 훨씬 체계적이고 집중되어있어요. 특히 자원봉사자가 어디를 일할 지, 언제 오는지, 누구랑 같이 일하게 될지를 선택할 수 있잖아요. 특별하게, 잘 진화된 것 같아요. 
At the time when I volunteered and did my internship, it was still hit-or-miss of the volunteers here, it was before Chloe started. So now it seems it’s very organized and focused in terms of getting to choose where you want to work as a volunteer, what days you work and who you want to work with. So it evolved into something which I think is very special.

지금은 정기적으로 오는 봉사자들이 있는데 정말 즐겁게 다시 찾아주세요. 서로 친해지고 정원가들과도 가까워지고요. 배우는 것도 많아요. 최소한 저는 제가 가르쳐 줄 수 있는 모든 걸 가르치거든요. 그게 제 일을 훨씬 의미 있게 만들어 주니까요, 호혜적인 관계죠. 그들은 집에서, 혹은 뒤뜰에서 쓸 수 있는 테크닉을 익혀가요. 작물을 기르거나 나무를 다듬는 법 같은 거요. 혹은 제가 배운 어떤 스타일이나 테크닉 같은 것들을 다 전수하려고 해요. 제 생각에 그분들도 사회에 무언가 환원하는 것, 그 자체를 기쁘게 생각하는 것 같아요. 동시에 배우는 스킬도 있고요. 
So now the volunteers, there’s definitely, it’s become regular volunteers, they enjoy coming back, they develop friendships among each other and with the gardeners. They learn, I know I teach as much as I can teach them, it makes the job more rewarding, both ways. So they learn techniques they can do at home, their home garden, either vegetable garden or pruning their trees, any kind of styles or techniques that I learned, I try to teach them. I feel that they feel rewarded by giving back to community, but they’re also learning skills. 

동시에 여기는 교류의 장이기도 해서, 오늘 보신 것처럼 서로서로를 다 알아요. 꼭 친구만난 것처럼이요. 여기선 모두가 서로를 돕고, 좋은 시간을 보내요. 제가 봉사자들을 받을 때는 꼭 친구들이 놀러오는 것 같거든요. 같이 이야기하고, 일도하고, 좋은 것들을 보고요. 상호적인 거예요. 영감을 얻어가기도 하고, 사회에 환원하는 것도 있고, 야외에 나오는 것도 있고, 도시에 살면 아무래도 자기 정원이 없으니까요. 
But they are also a part of social network, so everybody knows each other as you saw today, it was like friends getting together. Everybody help each other out, and everybody had a good time. When I worked with volunteers that’s how it is every time. When they come, it’s like having a friend come in. We talk, we work, we have fun, we go look at things, I think give and take on both sides. So they feel whatever inspires them, whether it’s doing something that gives back to the community, getting outdoors, because if you live in the city you don’t have a garden of your own. 

예를 들면, 미카는 여기에 오는 이유가 정원이 없어서인데, 원래는 집에 정원이 있고 거기서 일하는 게 좋았다고 해요. 자기만의 탈출구인거죠. 저희는 그로부터 또 도움을 받아요, 유휴인력이 생기니까요. 저는 정기적으로 인력을 보충받는 게 큰 도움이 되요. 안 그랬더라면 저 혼자 다 해야 할 일이었으니까요. 일을 더 빨리 마칠 수 있고, 재미도 있고요. 
For instance, Micah was talking about the reason he comes here is because he doesn't have a garden and he used to have a garden and he liked working in the garden at home. So it’s an outlet. We benefit from it. we get extra help. I definitely benefit from having a group of people here getting help on normally I would have to do it by myself. Having a group of people here we get I can get the job done quicker, and it is fun at the same time. 




크라임씬 목격! 인터뷰 중에 세상 귀여운 침입자가 나타났다. 잠시 인터뷰를 중단하고 가방을 옮긴 후에 계속되었다. 샌프란시스코 식물원 내에서 야생동물에게 먹이를 주는 일은 물론 금지되어있다.
Crime scene! During the interview we had a cutest attacker in the world. We paused and moved my bags and continued. Of course it is forbidden to feed any wild animal in the SFBG. 


EJ: 클로이 말로는 정원사들은 이곳 직원들과는 다르게 시 소속이라고 하던데요.
Chloe mentioned that unlike the officers here, gardeners belong to city government.

GL: 샌프란시스코 식물원이라는 비영리기관과의 독특한 관계가 있죠. 저희들 정원사들은 시 소속이니까요. 제가 봐도 독특한 관계예요.
So that’s a unique situation with the Non-profit, San Francisco Botanical Garden, and then us, the gardeners being part of the City (of San Francisco). Yes, it’s a unique situation. 

EJ: 이렇게 조직화 된지가 몇 년 안 되었다고 들었습니다.
So it’s been organized only recently in a few years.

GL: 네, 상당히 새로운 편이죠, 제가 여기에 인턴으로 있었을 때니까 제가 뭐라 이야기 할 수 없지만요. 그 전에는 지금처럼 체계화 되어있지 않았어요, 그건 제가 확실히 말할 수 있죠. 이전에는 여기에 봉사자들이 오면 모두 우선 온실에 다 모여서, 거기에서 어딘가로 일하러 뽑혀 가는 식이었어요. 지금은 관심사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직접 온라인으로 보고 결정하고, 같이 일하는 정원사도 선택하는 식이죠. 정원사가 사람들을 뽑아 가는 게 아니라요. 
Yes, it is somewhat new, I can’t speak to that much, because I was on volunteer side. It wasn’t organized as much as now; I can say that. (Previously) You would come in, then everybody was funneled into the nursery, and then they were picked out to where they would go to work somewhere else. Now you can look to see what your interest are, go online and see the gardeners, so they get to choose to work with what they want to work with. Instead of them being picked out by certain people. 

그래서 여기 저에게 오는 사람들은, 저랑 일하러 오는 거죠. 사람들이 찾아올 수 있도록 매력이 있거나, 사람을 좋아해야죠. 아마 저랑 일하고 싶지 않아 하는 사람들도 있겠죠, 하지만 괜찮아요. 같이 일할  수 있는 다른 열 분들이 더 계시니까요. 저랑만 일하고 싶어 하시는 사람들도 지금 최소 두 명은 있어요. 적어도 (제 담당구역인) 남아프리카, 뉴질랜드 정원이 좋아서거나 제 성격이랑 잘 맞아서겠죠. 그 중의 하나이거나 혹은 둘 다이거나. 남아프리카에 좀 더 애착이 있으니 여기 오거나, 혹은 제가 그 곳 정원사이니까 오겠죠. 
So the people who come here work with me, they want to work with me. You attract people, I would say like people. There may be people who don’t want to work with me, but that’s okay. They can have ten other people they can work with. And we have people who would only want to work with me, at least two right now, they only work with me. Not to say anything else, but they may felt connected either to South Africa, New Zealand, or my personality. So any one of those, or there could be other combinations, but they feel very connected to South Africa. So they only want to work here, and that happens be me as a gardener, right?

EJ: 수습기간의 경험담도 좀 들려주실 수 있나요?
Can you also talk about your experience as an apprentice? 

GL: 인턴시절에 시립대학교 원예과에서 수업을 듣고 있었어요. 이걸 직업으로 삼고 싶어서 선택한 거였죠. (졸업 후)진로는 다양해요. 자기 사업을 시작할 수도 있고, 누구 아래서 일할 수도 있겠죠. 혹은 정원사로서 시 소속으로 일할 수도 있고요. 제가 고려한 옵션이었죠. 저처럼 취미로만 일하고 공식적으로 경험, 달리 말해 조경 관리사로서 일한 게 아니라면, 정원사가 될 수 없어요. 제 경우에는 수습과정을 거쳐야만 그 경력을 쌓을 수 있었던 거죠. 
When I interned here, I was also taking classes in the horticultural department at city college. Part of the reason I chose is that I wanted to make this as a profession. There’s different avenues you can take, you can go to business by yourself, and go work for somebody else. Or you can come work for the city, as a gardener. So that was an option that I considered. Without formal experience, meaning if I didn’t work as a landscape maintenance person, which I never did, I just did it as a hobby. I didn’t have the experience to apply to become a gardener. So the only way for me to get in was to go through the apprenticeship, to get the experience. 

EJ: 인턴십과 정원사의 중간쯤 되는 과정인거네요?
So is it in-between of internship and the gardeners? 

GL: 네. 그리고 유급이에요. 인턴십일 때는 봉급을 받지만, 그건 시간당 받거나 요율로 받는 게 아니에요. 그냥 정해진 금액이 있어요. 수습과정이 되면, 시간당 받기 시작하는데 일한 시간만큼 받게 되고, 500시간을 채울 때마다 금액이 오르죠. 수습과정마다 각각 다를 거예요. 배관공이나 용접공들도 같은 제도가 있어요. 기술직의 모든 수습과정이 이런 식의 제도를 가지고 있고요. 제가 선택한 이유도 만일 이걸 직업으로 추구한다면 이렇게 해야 하기 때문이었어요. 
Yes, and it’s more of the paid (work). In internship you’d have a stipend, it’s not really an hourly rate or wage. It’s a set amount of money. Apprentice, usually that’s you’re hourly, you get paid. the more hours you work, there’s a bump every 500 hours or so. It would be different for different apprenticeships. They had same thing for the plumbers, welders… there’s apprenticeships for all kinds of skilled labor. This one happens to be very focused on gardening. That’s why I chose that, if I wanted to further my career to do this professionally, then I needed to go that route. 

EJ: 지원을 해야 하는 건가요?
You have to apply for it?

GL: 그렇죠. 어느 정도 일한 시간이 채워지면, 지금은 잊어버렸지만요. 적어도 1년 정도의 일한 시간을 채워야, 혹은 1-2년 정도를 채우면, 공고가 뜰 때 지원할 수 있죠. 
Correct, and after so many hours of work, I forget the number of hours.  But you need to put at least a year’s worth of work, any where from a year to two years. When the position becomes available, then you can apply, when the position becomes open. 



Retrieved from


이전에 뜬 채용공고를 확인하니 (사진참조) 샌프란시스코 시의 정원사 수습과정으로 4,000시간을 이수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혹은 3,000시간 이상의 경력과 성공적인 정원사과정 수료를 조건으로 하는 일정 요건을 갖춰야만 한다.
Completion of the City and County of San Francisco’s gardener apprenticeship program (4000 hours).  Applicants who have completed 3000 hours may apply and be placed under waiver pending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gardener apprenticeship program.
 

EJ: 엄청난 인내심이네요.
That’s a lot of patience.

GL: 네. 하지만 배우는 것도 많아요. 처음엔 그룹으로 들어와서 같은 그룹으로 6개월 정도 있고요. 그 다음엔 더 작은 3명 정도의 그룹으로 나눠져요. 이걸 ‘순환’이라고 부르는데요. 예를 들면 일본 차 정원 같은 곳에서 3개월 정도 같은 3명의 사람들과 일하고 나면, 그 후에 다른 곳으로 발령을 받아서 다른 3명의 사람들과 공원 서쪽에서 일하며 다른 스킬을 배우죠. 이렇게 3+3으로 6개월을 채우고 나면 저 혼자 일할 수 있게 돼요. 예를 들면 골프장 같은데서 또 일하며 배우죠. 이때 1년차쯤 되는데, 두 번 ‘순환’을 거치고 나면 공고가 났을 때 지원하고 배치를 받게 되는 거죠. 
Yeah. But you’re learning a lot too. First you work as a group, at the same group for six months, and then you break up into a smaller group, of let’s say, three people. They are called ‘rotations’. So I go work somewhere for three months, with the same three people, and work for instance, at the Japanese Tea Garden for the three months, Then I move with another, different three people, go work down at the west end of the park, and learn some other skills. After this 3+3, six months, Then I get moved by myself, and I go work, let’s say, at Golf, and I learn. At that point, you are getting close to a year so you had two more rotations, that’s about a year’s worth of rotations, and if and when the positions become available, then you apply, and then you’re placed. 

EJ: 이 수련과정에서 많이 배우겠어요.
You should learn a lot by this practice.

GL: 그렇죠. 배워야 할 요구사항은 관수, 식재, 특히나 전지하는 법, 그리고 계절별로 어떤 변화가 있는지 등이에요. 수습과정을 하면서 많은 걸 배워요. 
Yes, so what would be expected of you, you’re learning about irrigation, plants, more specifically pruning, and what happens seasonally. So there’s all kinds of stuff that you learn, as you go through the apprenticeship. 

EJ: 부끄럽지만 솔직히 말씀드리면, 조경가들이 모두 식재를 잘 아는 건 아니거든요. 하지만 도시에서 자라게 되면 그럴 수밖에요. 조경설계가들에게 이곳을 배움의 장소로 추천할 만 하다고 생각하시나요?
Honestly to say, some landscape architects don’t know much about planting as much as they are expected to, and it’s a big shame. But once you grew up in a city, that’s where you would end up. Do you think this is a good place to learn about plants and do you recommend this to a landscape architect?

GL: 그렇죠. 이전에 저랑 이 이야기 하신 적 있죠(예전에 오리엔테이션에 자기소개로 이 이야기를 꺼낸 적이 있다). 저는 조경가들이 자기가 디자인 할 곳의 식재가 어떻게 될지에 대해서 아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아마 기술적인 부분을 많이 배운다는 이유로 학교에서 많이 배우지 않는다면 그만큼 식재를 덜 배우게 되겠죠. 구조도 맞아야하고, 균형감, 크기, 그리고 미적인 모든 것들이 (식재에서도)중요해요. 하지만 또 잘못된 장소에 놓으면 안 되고요.  
True. I remember we having this conversation before. (I attended green team orientation and there were me and another landscape designer with exact same concern.) I think it’s vitally important, as a landscape architect that having a working knowledge of where you’re going to be designing for, of the vegetation. I would say, if you don’t learn that in school, because I think you learn a lot of technical parts, but maybe it’s not focused on the plants. And that’s almost, if not more, important, obviously the structure have to be right, the balance, the scale, and the aesthetics has to be right. But if you put the wrong plant in there.  

EJ: 맞아요. 저희에겐 책임이 있고, 그래서 보험도 들거든요.
Sure. And we also are responsible for that and we even have insurance for all that reason.

GL: 전에 판매일 하던 때 배운 게 있는데, 인생의 어떤 부분에도 적용되는 이야기에요. 맞는 식재를, 맞는 곳에, 맞는 때에 놓아야 한다는 거죠. 그 세 가지 중에 어느 하나라도 잘못 되면,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도 있어요. 식물이 죽을 수도 있고, 너무 크게 자라거나, 기초를 망칠수도 있고요. 다 자랐을 때 얼마나 커질지는 어디서 자라느냐에 달려있거든요. 광량도 중요하죠. 그늘이 필요한데 직사광선을 받게 하면, (식물이)안 좋아질 거예요. 반대로 햇살을 받아야 하는데 응달에 심어버리면 식재가 아파 보일거고. 좋은 식재결과를 못 보겠죠. 구조나 미적인 것이 중요한 만큼이나 식물을 알고, 어떻게 자라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알아야 해요. 이상적으로는 맞는 식재를 알맞은 곳에 알맞은 때에 심는다면, 전지도 많이 필요하지 않죠. 다 자랐을 때 어느 정도일지 알 테니까요. 완벽하게 맞겠죠. 예를 들면 구조물에 닿지 않게 5피트(약 1.5미터) 정도를 띄우고, 북향의 완전 일조 등등을 맞춘다면 완벽하게 건축적인 설계가 되겠죠. 식물에 대해서 그런 사항들을 다 이해해야만 해요. 
This is something I learned in retail, and this applies to everyone’s every aspect of life. It’s putting the right plant, in the right place, and at the right time. If you don’t do that, if any of those three things are off, you can have a disaster. It’s going to die, overgrow, ruin your foundation, or something. Knowing how big this plant is going to get at full growth, is going to be dependent on where it’s planted. The light requirement, if it needs shade, that needs full sun, It’s not going to look good. just the opposite, if it needs full sun, and you planted in a shaded area, it’s always going to look sick, so your design is not going to look good in the end. It’s going to be lacking. As important as the structural and the aesthetics, knowing the plant and understanding how it grows or its needs, are just as important. Because if you put the right plants, in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ideally you’re not going to have to have a lot of pruning, because you know the full growth, it’s going to be perfect. Like I need to give it five feet, before it touches the structure, and I need full sun, facing north, whatever it is. It’s almost as you would say, planning architecturally, you need to understand that plant that goes there. 




조지의 개인 창고 근처의 비밀정원에서 파틀럭 파티가 열리고 있다. 각 정원사들은 자기만의 창고를 하나씩 가지고 있다.
Potluck party around George’s station and so-called ‘secret garden’. Each horticulturalist has one of their own station.







샌프란시스코 식물원의 9와 3/4 정거장 같은 조지의 스테이션에서 나오고 있는 조지와 이든. 
George and his intern Ethan coming out of George’s station, looks like SFBG’s 9 and ¾ station entry 

글·사진 _ 전은혜  ·  Girvin Associates Inc.
다른기사 보기
jeoneung@gmail.com

네티즌 공감 (1)

의견쓰기
좋은 기사 잘 읽었어요.

한국에서는 언제부터인가 조경은 나무 심는 것이 아니다라며 식재를 무시하고 있죠. 7,80년대는 조경공사의 7,80% 였는데 근래는 거꾸로 시설물이 차지하고 있죠.

한 마디로 한국 조경가들. 조경학자들은 조경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본분을 모르고 예술가라며 유치한 그림을 그리고 있죠. 저 혼자 20여년 전부터 한국 조경은 희망이 없다라고 쓴 소리를 하고 있는데 각성해야 할 것 입니다.
고려대 명예교수 심우경
2018-09-2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