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 개별 서비스가 이익창출 가능해야″

데이터 관리와 활용방안, 시민참여 또한 중요해
라펜트l전지은 기자l기사입력2018-09-21


세계 각국의 스마트시티 기술·지식을 공유하는 국내 최대 행사인 ‘스마트시티 서밋 아시아 2018’이 지난 18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렸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전 세계 관련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스마트시티의 방향성을 모색했다. 이들은 스마트시티 사업에 있어 민간의 참여는 필수이며, 시민에 제공되는 서비스 각각이 민간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모델이 되어야한다는데 입을 모았다.

최귀남 Dell EMC Smart City ICT Architect 상무는 “도시 인프라 구축비용으로 연간 수십, 수백억이 투입되며 5년 단위로 리노베이션 해야 하기에 민간자본 유입은 필수”라며 “도시민이 그 비용을 창출할 수 있도록 돈을 지불하고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창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간 기업이 참여하려면 인센티브가 있어야 하지만 정부 예산은 한정되어 있다. 민간에서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수익을 가져가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서비스가 공공에서 시민들에게 제공해줘야 하는 서비스”라고 지적했다.

그는 “민간이 투자하고, 수익을 갈 수 있을 것 같은 주차, 가로등, 광고매체 등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겠지만, 제도적 규제에 묶여있어 민간이 직접 인프라에 투자하고 직접 서비스해 수확을 얻어가는 구조는 어려운 상황이다. 제도와 규제가 완화되어 스타트업 기업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면 투자문제들이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Ede Ijjasz-Vasquez 세계은행 수석이사 또한 “시민에게는 무료서비스를 제공하지만 기업은 무료서비스를 통해 이득을 볼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고 말했다. 다양한 방식을 통해 규제를 완화한다면 민간기업의 참여를 가능하게 하고 데이터서비스이용, 광고 등의 서비스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 데이터가 경계가 되어서 정보를 광고업체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정부는 서비스업체와 협력을 체결해서 더 많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Vincent Habers 네덜란드 인프라환경부 지능형교통체계 ITS 프로그램 총괄은 네덜란드 신호등의 1/4을 지능형으로 바꾸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며 정부와 민간의 파트너십에 대해 강조했다.

네덜란드는 정부입찰을 통해 기업을 선정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예산은 정부와 기업이 50%씩 담당한다. 그는 정부와 기업의 혁신적인 파트너십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이유로 정경유착이 없었다는 점을 꼽았다. 정부는 각 기업들과 개별적으로 계약관계를 유지해야 하며, 정부가 명령만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관계를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정부에 소수의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정부에 전문가가 있어야 지속적 파트너십이 가능해지고 기업과의 연계가 가능하다. 많은 기업들과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오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잦은 회의가 필요하기에 행정 내 전문가의 유입의 중요성에 대해 피력했다.

Taimur Khilji UNDP(유엔개발계획) 아태지역본부 지속가능 도시개발 총괄은 “SDGs(지속가능한 개발)의 17번 목표 파트너십이 스마트시티와 연계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목표이다. 자금조달에 있어서 기술에 있어서 체계적인 이슈해결과 통합시스템을 위해 ‘파트너십’이  가장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귀남 Dell EMC Smart City ICT Architect 상무, Ede Ijjasz-Vasquez 세계은행 수석이사, Vincent Habers 네덜란드 인프라환경부 지능형교통체계 ITS 프로그램 총괄, Taimur Khilji UNDP 아태지역본부 지속가능 도시개발 총괄, 김갑성 4차산업혁명위원회 스마트시티특별위원장

스마트시티에서는 데이터의 활용이 핵심이다. 초당 발생되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들을 어떻게 관리하고, 또 결합해 어떠한 서비스를 생성하느냐가 중요한 가치가 됐다.

최귀남 상무는 데이터 공유 플랫폼에 대해 강조했다. 랜드트렌드 아키텍처는 도로, 건물 등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머신러닝기반의 분석을 하고 생성되는 데이터는 클라우드를 통해 딥러닝 한 뒤 인공지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이를 구현하는 것이 플랫폼이다.

그는 “플랫폼은 개방형으로 공통모듈을 통해 서로 쉽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자체별로 가지고 있는 특성이 다르고, 사용하는 플랫폼도 달라 교통, 에너지, 환경을 제외하고는 공통되는 것이 없는 상황에서, 플랫폼을 통해 도시에 가치 있는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시킬 수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앞으로의 스마트시티는 빌딩, 차, 도시가 나를 알아보고 자연스럽게 정보를 제공해주는 도시가 될 것이며, 개인정보들이 활용이 되어야만 도시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개인정보보호법 때문에 도시의 개인정보를 활용하는 서비스에 제약이 있다”고 덧붙였다.

스마트시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화두는 ‘시민참여’일 것이다.

Ede Ijjasz-Vasquez 수석이사는 “시민의 참여는 기술의 활용방안을 얻을 수 있고, 적용시간을 줄일 수 있다. 지자체와 세금, 문서작업 또한 줄일 수 있다. 미디어를 통해 보다 시민들이 기술을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그 영향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며 “지속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시민들의 활용방안과 비용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밝혀 신뢰를 증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귀남 상무는 “스마트시티에 사는 사람들 대부분 스마트폰과 같은 디바이스를 가지고 필요할 때 언제나 정보를 입수하고 살 수 있다. 교통, 행정, 가로등과 같은 서비스는 서비스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시민이 필요한 서비스가 필요하고 이를 피드백할 수 있는 공동창구를 만들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창구를 통해 개선해나가야 한다”며 “시민 없이 IT, 거버넌스, 도시행정 관점에서 스마트시티를 설계한다면 실패한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글·사진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