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운의 곤충記] 미세먼지 없는 호주 곤충들은 자신이 행복한 줄 알까?

글_이강운 오피니언리더(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소장)
라펜트l이강운 소장l기사입력2018-12-02
미세먼지 없는 호주 곤충들은 자신이 행복한 줄 알까?



_이강운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소장
(사)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부회장



‘마음껏 숨 쉬고 싶다!’ 이 말이 이렇게 간절한 소원이 될 줄은 몰랐다.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아 코 점막이나 입안에서 조차도 걸러지지 않는다 하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를 걸러낼 수 있는 곳은 울울창창한 숲밖에 없는 것 같다. 자욱한 미세 먼지, 희뿌연 초미세 먼지로 아무 것도 보이지 않던 한국을 떠나 울창한 열대 우림을 간직한 호주 국립공원, 블루 마운틴에 서자 저절로 심호흡을 한다. 몸 속 켜켜이 쌓여있던 답답한 먼지가 한 번에 씻겨가듯 시원하다.


시드니의 마운트 아난 식물원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시트러스 청동노린재(Musgraveia sulciventris)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진녹색매미(Cyclochila australasiae)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목화광대노린재 애벌레(Tectocoris diophthalmus)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목화광대노린재 어른벌레(Tectocoris diophthalmus)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긴날개멸구과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세이브 아우어 플래닛 투게더(Save Our Planet Together)’란 주제로 호주 국립공원과 식물원을 견학하는 기획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서식지외보전기관의 연구자들은 가는 곳마다 이구동성으로 “공기 참 좋다”, “눈이 시원하다”를 연발한다. 잔잔한 호수는 시(詩)고 하늘은 그림이며 넘실거리는 푸른 숲 속을 느긋하게 산책하는 사람은 신선인 것처럼 보인다. 


애기나방속(Amata trigonophora)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갈풀뱀눈나비(호주 고유종, Tisiphone abeona)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작은멋쟁이나비속( Vanessa kershawi)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잎말이나방과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잎말이나방과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잎말이나방과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수염나방아과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코와 입으로 호흡하며 혈관을 통해 산소를 운반하는 인간과 달리 곤충은 직접 산소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뱉는 기관계(Tracheal system)라는 특별한 호흡 기관을 갖고 있다. 기관계가 밖으로 노출된 것이 기문(氣門, Spiracle) 즉 숨구멍이다. 완전 변태를 하는 대부분 곤충들은 한 쪽 면에 9개씩 총 18개의 숨구멍을 몸에 갖고 있다. 숨구멍 입구는 섬모들이 모여 술(Sy)을 형성해 호흡을 하는 동안 같이 들어오는 노폐물이나 먼지를 배출한다. 제대로 걸러내지 못하면 인간처럼 마스크를 쓸 수 없어 몸속으로 실핏줄 같은 기관지를 더 만드는 수밖에 없다. 미세먼지 많은 곳의 곤충 기관지는 훨씬 더 복잡할 것이다. 


꽃술재주나방 숨구멍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참나무산누에나방 제3배마디 숨구멍(x300)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참나무산누에나방 제3배마디 숨구멍(x1000)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곤충의 숨구멍은 호흡뿐만 아니라 자신을 방어하는 도구로도 사용한다.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물질을 방출시키거나 호흡량을 조절하여 소리를 내어 천적을 쫓는 방어기구로도 사용한다. 혹은 숨구멍 자체를 강력한 경고 색으로 무장해 무기화하기도 한다. 곤충 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숨구멍이다.


잎말이나방과 애벌레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잎말이나방과 애벌레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자나방과 애벌레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바퀴벌레 애벌레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마음껏 숨 쉴 수 있는 우리들도 이렇게 좋은데 6배나 많은 산소를 들여 마시는 곤충은 얼마나 편할까! 미세먼지 없는 깨끗한 공기를 양껏 호흡하며 사는 호주 곤충들은 자신들이 행복한 줄 알까? 


매부리류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바퀴벌레과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비단벌레과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하늘소과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나방 번데기 및 고치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좀잠자리과 / 홀소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 참조 : 국명은 편의상 필자가 영명과 학명을 근거로 이름 붙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본 글은 동아사이언스의 동의를 얻어 발췌한 기사이며, 이강운 소장의 주요 약력은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소장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부회장 / 한국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 회장 / 국립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겸임교수 / 저서로는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Caterpillars of Moths in Korea)>(2015.11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캐터필러>(2016.11 도서출판 홀로세)가 있다.
이메일 : holoce@hecri.re.kr       


 

글·사진 _ 이강운 소장  ·  (사)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다른기사 보기
holoce@hecre.re.kr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