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와 그린뉴딜, 새로운 생태복원 산업 생태계 조성해야”

김귀곤 교수, ‘한국판 그린뉴딜 정책과 생태복원’ 특강
라펜트l전지은 기자l기사입력2020-12-02


강연의 의미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김귀곤 서울대 명예교수(오)과 홍태식 (사)한국생태복원협회 회장(왼)


작금은 코로나19의 재유행 예측과 효과적인 대응이 큰 과제로 떠오르고 있고, 경제 회복을 위한 그린 뉴딜 사업이 여러 나라에서 추진되고 있다.


김귀곤 서울대 명예교수는 “그린뉴딜, 코로나19, 기후변화와 디지털 기술의 등장은 생태복원 분야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며 “그린뉴딜정책이 따로따로 진행이 되는 경향이 있는데,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하며, 유럽의 그린 딜처럼 생태복원, 이른바 자연환경의 보전과 복원, 기후대응정책 등이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판 그린뉴딜 정책과 생태복원’을 주제로 김귀곤 서울대 명예교수가 27일(금) (사)한국생태복원협회 추계심포지엄서 온라인으로 특강을 실시했다.


한국형 그린뉴딜 정책의 핵심 키워드로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10대 입법과제 ▲일자리 창출 ▲신기술 개발을 꼽고, 여기에 생태복원 산업 생태계에 대한 내용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생태복원 뉴딜’을 위한 6가지를 제안했다.


첫째, 복합위험성(Compound risk) 발생을 생태복원사업 활성화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기후재앙(풍수해 등)과 코로나19 같은 질병은 복합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므로 그린 뉴딜, 기후변화, 코로나19 대응과 생태복원의 결합에 바탕을 둔 접근이 필요하다. 상호 연결성을 모색하기 위해 생태복원기술의 ‘뉴 노멀’에 대한 해답은 시민과 함께 찾아가야 한다는 설명이다.


둘째, 기후변화대응과 생태적 전환이다. 기후변화와 그린뉴딜, 코로나19와 관련된 키워드는 ‘환경적 온전성(Environmental integrity)’으로 건강한 환경을 다음세대에 물려줄 것인가가 과제이기 때문에 UNFCCC COP25 Side Events의 주요 의제로 ‘자연에 바탕을 둔 기후변화 대응책(Nature-based solutions for climate emergency)’ 차원에서 방법론 개발에 노력해야 한다. 예시로 도시에 새로운 지형 및 대형숲을 조성하는 것이나 환경부 기후대응 지원사업으로 도시열섬 완화를 위한 ’도심도랑 조성사업‘ 지원 등을 들었다.


‘자연에 바탕을 둔 기후변화 대응책’이란 자연생태계나 변경된 생태계를 지속가능하고 효과적으로 다시 복원시키는 노력으로 정의한다. 그 목적 또한 코로나19, 기후변화, 식량, 물 안보, 기후재앙, 인간의 복지와 생물다양성 증진이다. 따라서 “생태복원 산업 생태계는 그 대상이 확대돼야 할뿐만 아니라 목적 자체가 인간의 복지에 더해 현재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까지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셋째, 새로운 경제 개념에 바탕을 둔 생태복원, 지속가능 투자를 위한 생태복원경제이다. 생태복원사업은 자연환경복원을 통한 경제활동이기 때문에 기후경제, 데이터 경제, 디지털 경제, 녹색 경제와 연계해서 생태복원경제 개념과 도구를 개발해야 한다.


넷째, 새롭게 탄생하는 도시에 부응하는 생태복원이다. 도시의 형태가 바뀌고 있기 때문에 생태복원도 새로이 탄생하는 도시에 걸맞은 기법 개발이 필요하다. 환경부에서는 스마트 그린시티 운동을 전개하고 있기에 이에 발맞춰야 하며, 스마트도시, 유역도시, 차세대도시, 자원현명도시, 회복탄력성 도시를 구현시키기 위해서는 생태복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다섯째, 4차 산업혁명시대의 스마트, 디지털 조경 생태복원 기법의 개발과 사업화이다. 생태복원과 디지털 콘텐츠의 융합과 협업, 스마트 그린시티에 적극 참여함으로 인해 생태복원 산업 생태계의 영역을 넓혀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제협력과 국제개발협력(ODA)이다. 현재 환경부가 추진하는 ODA사업에는 생태복원분야가 포함돼있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국제협력네트워크의 구축이 필요하다. 특히 UNFCCC와의 협력은 환경부가 맡고 있기 때문에 내년도 COP26 행사에 참여해 한국 생태복원사업에 대한 인식고취 및 해외사업 수주를 하는 것도 바람직한 노력이라고 조언했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유형의 생태복원사업 플랫폼 사례도 소개했다. 


자연에 바탕을 둔 도시녹색인프라 사례로 스웨덴 말뫼 폐공장 부지를 활용한 지역사회 사업을 들었다. 이곳은 옥상녹화를 통해 모인 물이 주택단지를 흐르고 공원으로 연결이 되고 습지를 조성하며 남는 물은 강으로 방류하는 시스템으로 돼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연결성’으로, 생태복원분야에서 하고 있는 여러 사업이 다목적적인 것이 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또 다른 사례는 DMZ 철원 습지 복원설계 사례로, 고립된 습지들의 모니터링 자료를 블록화해 체인으로 연결,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블록체인은 흔히 코인을 생각하지만 생태복원분야에서는 공유하는 데이터베이스로 보고, 전문가과 정부기관, 시민과 공유하는 시스템으로 발전돼야 한다며 생태복원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귀곤 명예교수는 “기후적으로 스마트하고 토지자원 관리면에서 현명한 통합적 생태복원 정책, 제도 및 기법 개발이 시급하다. 기후 스마트 생태복원 그린 뉴딜 사업 실현을 통해 미래 세대를 위한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미래를 만드는 산업으로 크게 발돋움해야 한다”고 전했다.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