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으로 온실가스 인벤토리 개선 필요”

경기연구원, ‘경기도 온실가스 인벤토리 개선방안 연구’ 발간
라펜트l주선영 기자l기사입력2024-02-19


경기 RE100 플랫폼 설명자료 


탄소중립 정책 기반의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으로 경기도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 시 감축목표 설정의 기준이 되는 온실가스 인벤토리 현황 파악과 활용방안 마련을 위한 내용을 담은 경기도 온실가스 인벤토리 개선방안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5일 밝혔다.

 

국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이 제정(20219)됨에 따라 17개 광역지자체는 최초 법정계획인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은 기존의 기후위기대응 기본계획과는 달리 모든 지자체가 2018년 배출량을 기준으로 10개년 감축계획을 수립하고, 매년 계획에 대한 이행평가가 법적 의무가 되었다는 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 공표한 인벤토리를 활용해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온실가스 인벤토리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등 국제 비교가 가능한 목록으로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종합적인 현황을 목록화한 통계자료를 의미한다.

 

기본계획에 따라 탄소중립 정책이 시행되면 그 결과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에서 배출량 감소로 이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행 인벤토리 구조에서는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온실가스 배출량으로 이어지지 않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발표와 배출량 발생 시기 사이에 2년의 시간차 존재로 정책 수립 및 평가에 어려움이 있다. ,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이 개선됨에 따라 과거년도 배출량 재계산이 이루어져 온실가스 인벤토리에서 배출량의 변화가 정책의 효과인지 배출량 산정 방법 개선으로 인한 변화인지 인벤토리 상의 배출량 수치로는 구분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경기도 관리권한 배출량(지자체에 관리권한이 있는 비산업부문 배출량)에서 건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55.8%(가정 27.2%, 상업공공 28.7%), 도로수송이 차자하는 비중이 33.5%에 달한다. 그러나 현재 인벤토리에서는 상세 배출원을 확인할 수 없어 배출량을 기반으로 한 정책수립과 정책효과 환류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그간 자체적으로 배출량을 산정한 적이 없어, 2020년 이후 국가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산정·공표하는 배출량으로 온실가스 배출 현황을 파악하고 있는데, 향후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공개하는 자료를 활용해 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통해 배출 발생시기와 배출량 발표시기 사이의 시차를 줄여 정책의 시의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도 관리권한 기준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좌) 및 추이(우) / 경기연구원 제공 


이에 연구원은 경기도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시의성 제고를 위한 경기도 온실가스 배출량 자체 산정, 건물 온실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교통 부문 세부 인벤토리 구축, 조성녹지 흡수량 산정을 제안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 공개하는 LULUCF의 흡수원 자료는 불확실도가 높다. 흡수원 부문 역시, 경기 RE100 플랫폼이 구축되면 경기도 전지역 LiDAR 촬영을 통해 경기도 자연산림, 임업산림, 잔존산림, 조성산림, 조성녹지 면적과 수목의 높이 및 수목 직경과 수목 개수를 파악할 수 있고, 해당 수목의 탄조저장량 분석이 가능해지므로 더 정확한 흡수량 산정이 가능할 것이다.


경기 RE100 플랫폼은 지난해 4월 발표한 경기 RE100 추진 전략의 하나로 항공 라이다(LiDAR), 초분광 위성영상,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 등을 활용해 경기도 전 지역 기후·에너지 분야 공간정보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한진이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건물 부문 배출량은 가정과 상업·공공으로만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으므로 건물의 용도별, 가능하다면 개별 건물 단위의 배출량 확인이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다도로수송 부문 역시 단일 항목으로 배출량이 공개되고 있어, 친환경 자동차 보급 외에 통행량을 고려한 실효성 있는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만들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이어 차종별(전기차 포함) 혹은 도로별 배출량 산정이 이루어져야 도로수송 부문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제대로 이행될 수 있다현재 온실가스 인벤토리에서는 산림이 아닌 조성녹지에 대한 흡수량 산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조성녹지의 흡수량이 산정돼야 지자체의 녹지조성의 노력이 온실가스 감축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_ 주선영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rotei@naver.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