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해매립지 조경 기술축적으로 활용도 높여야
라펜트ll기사입력1999-02-01
‘인천국제공항 식재지반 조성 학술연구 발표회’
2000년 개항 예정인 영종도 임해매립지에 아시아의 거점공항으로서 기능하게 될 인천국제공항의 식재지반 조성 학술연구발표회가 지난해 12월 19일 오전 10시부터 인천국제공항 국제회의센터에서 열렸다.
서울대학교 농업개발연구소가 주최하고 한국잔디학회, 한국조경학회, 한국토양비료학회, 신공항건설공단이 후원한 이날 발표회는 96년 6월부터 98년 6월까지 수행한 연구를 바탕으로 8개 항목에 관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이번 연구를 총괄한 류순호 교수(서울대)는 “외국공항의 조경 사례를 조사하기 위하여 네덜란드의 스키폴공항, 일본의 간사이공항, 홍콩의 첵렙콕공항, 싱가폴의 창이공항을 현지방문 조사하여 조경에 관련된 제반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고 밝혔다.
‘토양개량’에 대해서는 류순호 교수와 정영상 교수(강원대), ‘기상 및 비사방지’는 정영상 교수, ‘착륙대 녹지대 잔디식재지반 조성 및 공법’에 대해서는 주영규 교수(연세대)가 각각 발표하였다. 또한 안봉원 교수(경희대)가‘수목식재시험’에 대해, ‘잔디 시험포장의 발생잡초 및 갯벌지역 생태계 천이와 수생식물에 대한 조사’는 강병화 교수(고려대)가 발표하였고, 오휘영 교수(한양대)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결과를 주영규 교수가 대신 보고 하였고, 최병권 부장(신공항건설공단)이 ‘조경계획’에 관해 발표하였다.
최병권 부장은“신공항 조경은 방조제지역, 건물지역, 가로공원지역, 활주로 녹지대지역, 유보지지역 등 5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루프형식으로 연계되는 공원녹지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종합토론에서는 ‘환경친화적인 공항 건설’에 걸맞는 ‘Green airport in the sea’라는 조경의 기본개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연구용역결과를 현장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계속적으로 임해매립지에 대한 기술을 축적하여 타현장에서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2000년 개항 예정인 영종도 임해매립지에 아시아의 거점공항으로서 기능하게 될 인천국제공항의 식재지반 조성 학술연구발표회가 지난해 12월 19일 오전 10시부터 인천국제공항 국제회의센터에서 열렸다.
서울대학교 농업개발연구소가 주최하고 한국잔디학회, 한국조경학회, 한국토양비료학회, 신공항건설공단이 후원한 이날 발표회는 96년 6월부터 98년 6월까지 수행한 연구를 바탕으로 8개 항목에 관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이번 연구를 총괄한 류순호 교수(서울대)는 “외국공항의 조경 사례를 조사하기 위하여 네덜란드의 스키폴공항, 일본의 간사이공항, 홍콩의 첵렙콕공항, 싱가폴의 창이공항을 현지방문 조사하여 조경에 관련된 제반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고 밝혔다.
‘토양개량’에 대해서는 류순호 교수와 정영상 교수(강원대), ‘기상 및 비사방지’는 정영상 교수, ‘착륙대 녹지대 잔디식재지반 조성 및 공법’에 대해서는 주영규 교수(연세대)가 각각 발표하였다. 또한 안봉원 교수(경희대)가‘수목식재시험’에 대해, ‘잔디 시험포장의 발생잡초 및 갯벌지역 생태계 천이와 수생식물에 대한 조사’는 강병화 교수(고려대)가 발표하였고, 오휘영 교수(한양대)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결과를 주영규 교수가 대신 보고 하였고, 최병권 부장(신공항건설공단)이 ‘조경계획’에 관해 발표하였다.
최병권 부장은“신공항 조경은 방조제지역, 건물지역, 가로공원지역, 활주로 녹지대지역, 유보지지역 등 5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루프형식으로 연계되는 공원녹지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종합토론에서는 ‘환경친화적인 공항 건설’에 걸맞는 ‘Green airport in the sea’라는 조경의 기본개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연구용역결과를 현장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계속적으로 임해매립지에 대한 기술을 축적하여 타현장에서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관련키워드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