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세계박람회, 5월 1일부터

한국관 Friendly City, Colorful Life 주제로
라펜트l유일홍l기사입력2010-04-15

 “beter city, better life”를 주제로 2010년 5월 1일부터 중국 상하이 도심부를 중심으로 '상하이 세계박람회'가 개최된다.
이와 더불어 최근 전시관 건설이 완공단계에 들어섰다.  전시관은 새로운 설계컨셉과 건축 스타일로 세계도시의 다양한 문화의 융합 및 도시과학적 창의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관의 주제는“Friendly City, Colorful Life”로서, 세계인들이 다채롭게 소통하고 융합하면서 서로 배려하고 사랑하는 도시문화와 비전을 연출하게 될 것이다. 국가관과는 별도로 우리기업들 역시 포서지역 기업관에 “Green City, Green Life”를 주제로 한국기업관을 설치해 참가한다.

상하이 세계박람회의 홍호(洪浩) 국장은 이번 상하이 엑스포의 특색에 대해서,
첫째, 국가적 특색을 담은 전시관이 들어선 상하이 세계박람회는 최고의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며 ‘각 전시관의 독특한 건축디자인 및 설계주제’에 대해서 강조하였다.
둘째, 근사하고 다채로운 문화예술 활동도 열린다. 세계박람회는 다양한 세계 문화예술 무대로서 현재 200여개 국가 및 국제적인 조직에서 1000여개 프로그램 신청을 받았다. 전시 기간에는 영국국가발레단, 필라델피아 교향악단, 베네수엘라 청소년교향악단 등 세계 유명한 예술단체뿐만 아니라, 브라질 삼바, 부룬디 대고, 솔로몬 제도 피리 등 국가적 특색을 보이는 공연도 마련될 예정이다. 또한 중국의 민족성을 담은 무술, 곡예, 청소년들 위한 아동극, 인형극 등 다양한 공연이 개최된다.
마지막으로 홍호(洪浩) 국장은 “이번 세계박람회는 각국 최신 기술을 구사한 건축재료도 제시한다”며 상하이 세계박람회의 빼어난 3가지 설명을 마쳤다.

박람회 개요
기간: 2010.5.1~10.31(6개월 기간)
개최지: 상하이도심부, 남푸대교에서 로푸대교 까지의 황푸장(黄浦江) 양안
면적: 328ha
참가 외국관: 국가관 총 192개국, 국제기구(기관) 49개, 기업관 17개 
홈페이지: http://www.expo2010.cn


상하이 세계박람회 전시관 - 햇빛 찬란한 중심축
중심축은 새로운 건축소재를 이용하고, 크게 지상, 지하 두 부분으로 나누어 놓았다.

생태적 디자인
• 햇빛을 활용하여 지하 녹색 공간을 만들기
• 생태 녹색 기술로 실내 온도를 조절하기
• 저탄소 녹색성장을 이루기 위한 빗물관리

덴마크 전시관 "인어공주" 중국으로 오다
3월 25일에 “인어 공주”는 코펜하겐을 떠나 상하이로 향하는 여행을 시작하였으며, 이 세계적 동상은 1913년에 완성된 이후 고향을 떠나는 것이 처음이다.
인어공주 동상은 덴마크 수도 코펜하겐에서 성대한 환송을 받은 후, 4월 말 상하이에서 국내외 관광객들을 만난 다음, 11월 말 다시 고향으로 돌아간다.

이탈리아 전시관 “이상적 도시, 사람의 도시”
전시 주제는 “이상적 도시, 사람의 도시”이다. 이탈리아의 저명 화가 Michelangelo Merisi detto il Caravaggio의 작품이 전시되며, 그 외에 Renzo Arbore와 Massimo Ranieri와 같은 이탈리아 전통 민간음악, 발레 등의 공연을 제공할 계획이다.

런던 “탄소제로 전시관”
이번 상하이 세계박람회에 전시한 런던 “탄소제로 전시관”은 영국 런던 근교 남부 wallington에 위치한 '제로에너지 생태주거단지(BedZED)'를 모델로 조성하였으며, 건축면적은 2500m²이다. 탄소제로 보고회장, 탄소제로 식당, 탄소제로 전시장 등 여러 가지 전시장소를 나누어 놓아 볼거리를 제공한다.

전시관 개요
위치: 중국 상하이 푸동 세계박람회 단지 중심지역
길이: 1,000m
폭: 100m
면적: 280,000m²


출처:《上海世博》
http://www.expo2010.cn

유일홍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elainebt_liu@hotmail.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