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시설 유형별 맞춤 ‘디자인’ 적용

서울시 이용자 특성에 맞는 ‘유니버설 디자인’ 개발
라펜트l손미란l기사입력2010-08-05

앞으로 서울시에 지어지는 복지시설은 누구나 처음부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된다.

서울시는 장애인, 노인, 어린이, 여성 등이 이용하는 복지시설에 이용자 모두가 불편함이 없도록 유니버설 디자인 및 가이드라인을 개발해 적용할 계획이라고 지난달 26일 밝혔다.

가이드라인은 내년 4월까지 개발 완료 하고, 실제 신축, 증축, 리모델링 계획이 있는 노인요양시설, 어린이집, 장애인복지관, 아동생활시설, 여성보호시설, 사회복지관 등 6개 유형에 시범 적용할 계획이다.  

노인시설의 경우 안전성, 인지성, 편안함을, 보육시설의 경우 친환경성, 활동성, 가변성을, 아동청소년시설의 경우 창의성, 확장성, 성장 포용성을, 장애인시설의 경우 무장애, 접근성, 내구성을, 여성시설의 경우 심미성, 편의성, 감성을 중점으로 한다.

주요 개발 내용으로는 ▲시설 진입구부터 이동 경로 ▲시설물 공간 배치 ▲진입구에서 실내 공간까지 엘리베이터, 경사로 등 이동 편의시설 ▲화장실, 주방, 프로그램실 등의 생활편의시설 ▲실안내표지, 안내시스템 등 ▲실내 마감재 및 색채, 조명, 가구 등 실내디자인 등이다.

디자인 및 가이드라인 개발 과정에는 장애인, 노인, 여성, 어린이, 청소년, 기타 6개 소관 대상별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사회복지사, 시설장, 복지시설 관련 협회, 건축사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토록 하여 현장의 목소리가 담긴 실질적인 디자인 및 가이드라인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손미란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s-mr@hanmail.net
관련키워드l유니버설디자인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