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놀이시설 안전사고 사각지대 없앤다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업무, 지식경제부에서 행정안전부로 이관
행정안전부(장관 원세훈)는 1월 20일부터 어린이 놀이시설 설치 및 안전관리 업무를 지식경제부로부터 이관 받아 어린이놀이시설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유치원, 아파트, 공원 등에 설치되어 있는 6만 2천여개의 어린이 놀이시설이 최근 관리소홀 등으로 각종 안전사고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에 대한 관리주체의 관심부족으로 안전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등 지속적인 안전관리제도가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정부에서는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을 개정하여,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업무를 국가재난안전을 총괄·조정하고 있는 행정안전부로 이관하였다.
앞으로, 행정안전부는 안전담당 중앙 행정기관으로서 어린이놀이시설에 대한 안전사고 사각지대를 발굴·제거하고 지자체와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실효성 있는 안전관리제도를 운영할 예정이다.
어린이놀이시설 2천2백여개 설치검사
우선 ‘09년도에는 어린이놀이시설 6만2천여개 중 15년 이상된 노후시설 등 2천2백여 개에 대하여 설치검사를 실시하고, 일부 어린이놀이시설에 박테리아 등 병원성균이 발견되어 위생관리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제도를 조기에 정착시키기 위해 자치단체 담당자 및 관계자를 대상으로 순회 교육을 3월부터 실시키로 하였다.
행정안전부는 이를 통해 효율적인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체계가 구축되어 어린이들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놀이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일범 행정안전부 안전개선과장은 “생활안전관리분야의 효율화 및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하여 안전관련 시민단체, 지자체와 상호 협력하여 안전 관련 업무체계를 정립하겠다”며, “안전정책의 총괄·조정 기능을 강화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_ 행정안전부
- 박광윤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lapopo21@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