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주요뉴스

[녹색시선] 정원을 관리하다
정원을 관리하다글_손관화 교수(연암대학교 화훼디자인계열 가드닝전공)우리 대학 가드닝 전공 학생들을 위한 실습정원은 1,000평정도 된다. 대략 5m×5m 작은 정원들로 조각내어 학생 1-2명을 배정해 정원을 ..라펜트2016-07-21
[녹색시선] 인어 이야기
인어 이야기글_구본학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안데르센의 동화 ‘인어공주(The Little Mermaid)’는 아름다운 인어공주의 슬픈 이야기를 담고 있다. 바다에서 조난당하여 죽게 된 왕자를 구하고, 왕자를 사모..라펜트2016-07-17
[녹색시선] 나는 ‘위험한 전문가’였을까?
나는 ‘위험한 전문가’였을까?글_김수봉 교수(계명대 생태조경학전공)전문가라 함은 어떤 분야를 연구하거나 그 일에 오랫동안 종사하여 그 분야에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우리 사회에는 경제, ..라펜트2016-07-14
[녹색시선] 조경, 다른 이름을 가지는 것은 어떤가?
조경, 다른 이름을 가지는 것은 어떤가?글_최정민 교수(순천대 조경학과)“조경을 영어와 한자로 쓰세요”. 이제 막 조경에 입문한 신입생들에게 내는 퀴즈 가운데 하나다.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은 궁금해 할 것 같지..라펜트2016-07-10
[녹색시선] ″조선왕릉, 왕실의 영혼을 담다″ 기획전시에..
“조선왕릉, 왕실의 영혼을 담다” 기획전시에 대한 몇가지 생각들글_최종희 교수(배재대 원예조경학부 조경학전공)지난 6월 21부터 서울 고궁박물관에서는 “조선왕릉, 왕실의 영혼을 담다”라는 주제로 기..라펜트2016-07-05
[녹색시선] 경관을 만드는 조경(造景)
경관을 만드는 조경(造景)글_주신하 교수(서울여대 원예생명조경학과)2016년도 국토경관디자인대전에서 국토교통부 장관상을 수상한 ‘역사와 문화를 담은 경의선숲길’조경(造景)은 경관을 만든다는 의미의 한..라펜트2016-06-30
[기고] 한중일 정원 비교연구는 왜 필요한가?
한중일 정원 비교연구는 왜 필요한가?글_박경자 (사)전통경관보전연구원 원장인접한 한국과 중국, 일본은 동일문화권으로 먼 옛날부터 넓은 한울타리 안에서 서로 다투면서도 공생해 왔다. 생활하는 방법 그..라펜트2016-06-29
[녹색시선] 우리 시대 풍경 감수성과 조경가의 사명
우리 시대 풍경 감수성과 조경가의 사명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십 여 년 전 현상설계로 나온 선유도공원(당시 선유도정수장)에 대해 조사하다가 그 곳이 섬이 아니라 봉우리였다는 사실을 알고는 ..라펜트2016-06-21
서유구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속으로!
옛사람들이 집을 짓고 정원을 조성하는 방법을 기록한 “서유구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속으로!글_김홍렬 오피니언리더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과정 수료건축/조경/생태복원기사│궁궐길라잡이 종..라펜트2016-06-10
[녹색시선] 초화류디자인
초화류디자인글_손관화 교수(연암대학교 화훼디자인계열 가드닝전공)봄이 되면 전국 각지에서 유채꽃, 매화, 산수유, 벚꽃, 철쭉, 장미 등 여러 봄꽃 축제가 열리고, 또 꽃박람회나 꽃나들이 축제가 펼쳐진다..라펜트2016-05-26
[녹색시선] 사람, 자연, 그리고 문화, 생태환경자원을 ..
사람, 자연, 그리고 문화, 생태환경자원을 지키기 위한 사람들글_구본학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USFWS의 편집장이며 ‘침묵의 봄(Silent Spring)'의 저자인 Rachel Carson 여사는 “이 나라의 야생구역을 여..라펜트2016-05-22
[녹색시선] 도시공원의 재생은 도심의 재생
도시공원의 재생은 도심의 재생글_김수봉 교수(계명대 생태조경학전공)달성공원을 둘러싸고 있는 대구의 두 개의 자치구인 서구와 중구는 최근 잇따라 달성토성주변의 도심재생에 관한 여러 가지 사업을 시행하고,..라펜트2016-05-19
[미래포럼] 조경가의 역할을 다시 묻다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미래포럼‘조경인이 그리는 미래’ Series No.12우리시대 아파트 풍경 유감 : 더불어 사는 삶터의 진정한 회복을 위하여서영애 기술사사무소 이수 소장(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운..라펜트2016-05-17
[녹색시선] 뭐 좀 새로운 것 없어?
뭐 좀 새로운 것 없어?글_최정민 교수(순천대 조경학과)“뭐 새로운 거 없어?” 누구나 한번쯤은 들었을 만한 질문이다. 늘 새로운 것을 고안해야하는 디자인 분야에서 일한다면 친숙한 말일 것이다. 직업..라펜트2016-05-12
[녹색시선] 정원에 걸린 우리 시대 조경인의 꿈
정원에 걸린 우리 시대 조경인의 꿈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수 년 전 필자는 잠시 정원이 딸린 단독주택에서 산 적이 있었다. 딸이 입학한 학교를 따라 강북에 가서 살게 된 김에 큰 맘 먹고 정원..라펜트2016-05-10
[녹색시선] 어린이조경학교, 같이 해보지 않으시겠습니까?
어린이조경학교, 같이 해보지 않으시겠습니까?글_주신하 교수(서울여대 원예생명조경학과)“선생님! 이거 이렇게 자르면 되나요?”초롱초롱한 눈망울로 어린 학생이 대학생 언니에게 물어 봅니다. 나무모양을 ..라펜트2016-05-06
[녹색시선] 학회 참가의 즐거움
학회 참가의 즐거움글_최종희 교수(배재대 원예조경학부 조경학전공)지난 4월 22일 금요일 서울 고궁박물관 강당에서는 2016년도 (사)한국전통조경학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가 열렸다. 필자는 ..라펜트2016-05-03
[녹색시선] 조경계의 ‘자기기만’은 무죄: 진화론적 관점
조경계의 ‘자기기만’은 무죄: 진화론적 관점글_조세환교수(한양대 도시대학원)최근에 국내에서 번역된 앤드류 포터의 ‘진정성 이라는 거짓말’의 서평(조선일보, 2016년 2월 13일자 A16면)에 상당부분 공감한다. 늘..라펜트2016-04-26
11 12 13 14

최근인재정보

인포21C 제휴정보

  • 입찰
  • 낙찰
  • 특별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