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공간정보산업 인력수요전망

공간정보산업, 인력수요 전망은?
라펜트l기사입력2015-12-04
지은이_한국고용정보원; 권우현, 방글, 최윤수, 최병남 | 펴낸곳_진한엠앤비

전통적으로 측량업과 지도제작업 등 제조업 중심으로 발전해 오던 공간정보산업은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서비스업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타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창조 경제의 신 성장 동력이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공간정보산업은 단순히 위치 정보를 생산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넘어 유·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고도화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 분야는 그동안 독자적인 분류 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현황파악이 쉽지 않았던 분야였다. 정부는 2012년 산업의 범위를 명확히 하여 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고, 정확한 산업 통계를 생산하여 연구,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공간정보산업 특수 분류를 마련했다.

이로써 공간정보산업은 독자적인 산업으로 분류되었으며, 특수 분류에 기초한 공간정보산업조사가 실시됨으로써 산업에 대한 종합적인 파악이 가능해졌다.
 
공간정보산업은 다양한 산업 분야와 융·복합하면서 활용 영역이 다양해지고 있는 분야이며, 직접적인 고용 창출 이외에 타 산업에의 고용파급 효과도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래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공간정보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시장의 확대에 부응하여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 기술과 지식을 갖춘 인력이 원활하게 공급되어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는 창조 경제의 신성장 동력이자 일자리 창출 산업으로도 급격히 부상하고 있는 공간정보산업의 산업 구조 및 고용 구조 분석에 기초하여 인력 수요를 전망하기 위함이다.
 
연구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진과 공간정보산업 전문가로 공동연구진을 구성하고, 공간정보 사업체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대해서는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쳤다.

인력수요 전망 결과, 공간정보산업의 공간정보 관련 업무 종사자는 2012년 42.7천명(교육 서비스업과 협회 및 단체는 제외)에서 연평균 4.4%씩 증가하여 2018년에는 55.5천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공간정보산업의 구조는 제조업과 도매업의 비중이 감소하고 서비스업의 비중이 증가하는 형태의 구조 변화가 전망되며, 취업자 증가의 대부분은 공간정보 관련 서비스업에서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
관련키워드l공간정보, 인력수요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최근인재정보

인포21C 제휴정보

  • 입찰
  • 낙찰
  • 특별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