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시선] 미래를 이끄는 과거 ″농어업유산″
백승석 논설위원(한국농어촌공사 과장)라펜트l기사입력2016-04-08
미래를 이끄는 과거 “농어업유산”

글_백승석 과장(한국농어촌공사)
“농어업유산”은 전공 유무를 떠나 매우 생소한 용어이다. 연재를 요청받았을 때 농어업유산에 대한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나가야 이해가 쉽고 흥미를 느낄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하였다. 여러 자료와 전문가들의 생각들을 종합한 결과 현대사회에서 농어업유산이 갖는 의미를 제시하고 싶었다.
농어촌은 요즘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장소이다. 한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 중 농어촌을 배경으로 연예인들이 농사나 어업 활동으로 얻어지는 산물을 통해 하루 세끼를 해결하는 “삼시세끼”가 국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이 인기를 얻는 것은 우리가 살아가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먹거리인 채소를 재배하고, 물고기를 잡는 등 농어업 행위와 농경문화, 경관적 아름다움 등이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었기 때문일 것이다.
농어촌에는 오랜 세월에 걸쳐 축적된 선조들의 지식, 기술, 경험 등의 결정체인 전통적 농어업활동이 남아 있다. 전통적 농어업활동은 생태적 건강성을 유지하고, 농어촌 특유의 경관적 아름다움을 형성했다. 농어촌에 존재하고 있는 농어업활동, 문화, 경관 등의 자원에 대한 중요성과 가치가 재조명 받고 있다. 특히 농어업유산은 농어민이 오랜 시간동안 지역 환경에 적응하면서 형성된 전통적 농어업기술, 문화, 생물다양성 등의 전승할 만한 가치가 있는 전통적 농어업활동과 이것에 의해 형성된 경관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차원의 보전・관리 대상이 되고 있다.
효율성과 생산성을 중시하는 현대시대에 농어업유산에 대한 가치를 재발견하고, 우리 모두가 보전에 힘을 모아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농어업유산은 낡고 쓸모없는 구태의 흔적이 아닌 수백 년 발전하고 쌓아온 지혜의 소산이자,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소중한 유산으로 우리의 미래를 이끌 수 있는 지혜를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농어업유산을 보전・관리함으로써 관광자원과 지역농산물의 브랜드자원으로 활용한다면, 농어업유산은 우리 농어촌의 미래를 밝혀 줄 새로운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러한 농어업유산에 대한 가치에 대해 일찍부터 인식하여 2012년 국가적 보전・관리가 필요한 농어업유산을 국가중요농어업유산*으로 지정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016년 4월 현재 6개의 국가중요농업유산과 3개의 국가중요어업유산이 지정되었다.
*국가중요농어업유산은 2013년 농림수산식품부가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로 분리되면서 국가중요농업유산은 농림축산식품부, 국가중요어업유산은 해양수산부가 지정하고 있다.
<국가중요농어업유산 지정 현황>
2016년 4월기준
국가중요농업유산 |
국가중요어업유산 |
제1호 청산도 구들장논 제2호 제주밭담 제3호 구례 산수유농업 제4호 담양 대나무밭 제5호 금산 인삼농업 제6호 하동 전통차농업 |
제1호 제주도 해녀어업 제2호 보성 뻘배어업 제3호 남해 죽방렴어업 |
또한 UN의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는 2002년부터 농업적 토지이용, 전통적 농업과 관련되어 형성된 문화, 경관, 생물다양성 등 중요한 지역을 후대에 계승시키기 위해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으로 지정하고 있다. 현재까지 15개국 36개가 등재되었고, 91개가 후보지역으로 되어있다. 한국의 경우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지역 중 “청산도 구들장논”과 “제주밭담”이 2014년 4월에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되어, 세계적으로 한국 농어업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처럼 국내외적으로 오랜 시간동안 농어민이 농어업활동을 유지하면서 전통 농어업기술, 경관, 문화, 공동체에 의해 유지되어온 농어업유산이 계승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가 존재하고, 인류의 미래를 담보할 수 있는 것이다.
앞으로는 국가 및 세계중요농업유산의 지정기준, 국가중요농업유산과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유산의 특징과 가치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제주밭담 ⓒ농식품부 국가중요농업유산 홍보자료

남해 죽방렴 ⓒ농식품부 국가중요농업유산 홍보자료
- 글 _ 백승석 과장 · 한국농어촌공사 지역개발지원단
-
다른기사 보기
seungseok1466@daum.net
관련키워드l녹색시론, 백승석,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업유산, 유산
기획특집·연재기사
- · [녹색시선] 에너지 위기와 데이터기반 그린인프라
- · [녹색시선] 새롭게 도입된 우리나라 기후영향평가 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기대와 과제
- · [녹색시선] 진짜 조경은 드로잉으로만 존재한다
- · [녹색시선] 누구를 위한 정원인가
- · [녹색시선] 2022년 용산 국가공원은 안녕하신가?
- · [녹색시선] 누가 조경가인가?
- · [녹색시선] 식목일, 그리고 왕벚나무와 목련
- · [녹색시선] 국가도시공원이라는 대선 공약
- · [녹색시선] 옥상! 도시의 방치된 갯벌이다! 우리의 미래자원이다!
- · [녹색시선] 동지들에게 고함
- · [녹색시선] 정원식물 그 이상의 가치, 자생식물
- · [녹색시선] 3년 그리고 세 명의 시장
- · [녹색시선] 신입사원 모집 공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