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전원도시 미세먼지 안전지대 아니다″

‘경기동부 도농복합지역의 미세먼지 관리방안’ 보고서 발표
라펜트l기사입력2017-10-17

주차장 바닥 녹화, 주차장 벽면 녹화 ⓒ경기도(2014) 「2차 수독원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 추진을 위한 경기도 시행계획」

미세먼지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지속적인 나대지 녹색화 사업이 소개돼 눈길을 끈다.

경기연구원이 16일 발표한 ‘경기동부 도농복합지역의 미세먼지 관리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경기동부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는 감소하는 추세에 있기는 하나, 이천시(58㎍/㎥), 여주시(54㎍/㎥) 등은 경기도 평균농도(53㎍/㎥)를 상회하면서 수원(53㎍/㎥), 성남(46㎍/㎥) 등 대도시 지역보다 오히려 나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동부지역은 남양주시, 이천시, 광주시, 여주시, 가평군, 양평군 6개의 시‧군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남양주시의 대기질 농도는 타 지역에 비해 좋았다. 남양주시의 2016년 PM10 농도는 45㎍/㎥로 경기도에서 제일 낮은 지역이고, 감소하는 추세였다.

이천시의 PM10 농도는 2016년 58㎍/㎥로 경기동부지역에서 가장 높았다. 여주시는 54㎍/㎥로 이천시 다음으로 높은 농도였지만 2013년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이다. 광주시는 10년 동안 증감을 반복했으나, 2016년 52㎍/㎥로 감소했다.

가평군은 48㎍/㎥로 경기동부지역 중 유일하게 농도가 증가했지만 경기도 평균 수치보다 낮았으며, 양평군은 46㎍/㎥로 남양주시 다음으로 농도가 낮았다.

이는 경기동부지역이 산업시설, 교통 등에 의한 자체적인 대기오염 유발 요인은 크지 않지만, ▲중⋅소 배출시설의 관리 부족, ▲생물성연소 만연, ▲비산먼지 발생 등의 이유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것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동부지역에 입지하고 있는 중⋅소 배출시설들은 대부분 매우 영세해서 환경관리에 소홀할 뿐만 아니라 관리당국의 지도⋅점검도 세세하게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농업잔재물이나 생활쓰레기 연소, 화목난로 등과 같은 생물성 연소 배출원의 비중이 타 지역보다 매우 높았고, 농경지나 나대지 등이 넓게 분포하고 있어 비산먼지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도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대책으로 나대지 녹색화 사업을 소개했다.

서울시는 2013년 생활 주변 공터 및 도로변 화단·녹지대 등 나대지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관리하고자 2012년 701개소에서 2013년 876개소로 나대지 관리대상을 확대했다. 대규모 및 소규모 생활 주변 공터, 도로변 화단·녹지대 등으로 유형화하여 비산먼지 관리방안을 제시했다.

인천시는 2013년 나대지에 초화류의 파종으로 먼지 저감 및 시각적 환경 개선을 추진했고, 운동장, 비포장도로 등 생활형 나대지에 먼지억제제를 살포한 바 있다.

김동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향후 경기동부지역에서는 나대지 유형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저감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비산먼지에 대한 민원이 다발적으로 나오는 지역에 우선적으로 먼지억제제를 살포하거나 시민참여를 통한 텃밭 가꾸기 등을 추진한다. 공공기관 소유의 나대지 및 비포장도로 등은 수목식재, 화단 조성 등 나대지 녹색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사유지의 경우 사업자로 하여금 나대지 내 식재 등을 시행할 경우 인센티브 제도 도입 등을 통해 나대지 녹화 사업에 대한 인식 전환의 기회를 마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라고 제안했다.
_ 신혜정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ssinkija@naver.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최근인재정보

인포21C 제휴정보

  • 입찰
  • 낙찰
  • 특별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