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과 주변부 밑그림 공개

라펜트l기사입력2009-04-16

설계경쟁 통해 김영원 조각가의 ‘뿌리깊은 나무, 세종대왕’ 최종 당선
서울의 심장부, 광화문광장의 표정을 바꿀 세종대왕 동상 모습 그 주변부의 밑그림이 공개됐다.

서울시(시장 오세훈)는 오는 7월 서울의 상징가로이자 대한민국 대표광장으로 다시 태어나는 광화문광장 내에 들어설 세종대왕 동상 작품을 지명초청작가 설계경쟁을 거쳐 김영원 조각가의 ‘뿌리깊은 나무, 세종대왕’으로 최종 선정 했다고 밝혔다.

당선작을 발표하며 오세훈 시장은 “용맹과 애국의 상징인 이순신장군 동상과 더불어 창의와 애민의 상징인 세종대왕의 동상이 서울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대변하는 문화아이콘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심사평을 통해 강태성 심사위원장(전 이화여대 교수)는 이번 작품이 ▴문화광장의 도시경관과 조형물과의 조화 ▴심미감과 품격 ▴세종대왕상의 이미지표현과 부대시설, 규모에 대한 조화 ▴장애인을 배려한 광장구성 ▴위대한 업적들이 이해하기 쉽게 표현한 점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기단 위에 위치한 좌상 형태의 동상, 남쪽 향하며 이순신장군 뒤쪽에 배치
세종문화회관 앞에 들어설 당선작품은 기단 위에 위치한 좌상 형태의 동상으로서 남쪽 방향(시청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이순신장군 뒤쪽에 250m 정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 기단 바로 앞에는 훈민정음 원문과 해석문을 설치해 한글창제의 업적을 강조했다.
동상에서 세종대왕은 웅장한 이미지보다는 온화한 표정으로 두 팔을 벌리도록 표현해 백성들과 소통을 중시했던 군주의 이미지를 살렸으며, 한 손에는 책을 들고 있어 한글을 바탕으로 수준 높은 민족문화를 만들어냈던 대왕의 정신을 표현했다.

동상 하단 기단부도 관람객들이 직접 들어가 감상, 체험하는 공간으로 활용
동상 하단 기단부 공간은 관람객들이 직접 들어가 대왕의 일대기와 업적, 한글 창제원리를 통한 과학 기술의 우수성 감상할 수 있는 영상 벽면을 조성, 앞서가는 우리의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해  세종대왕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했다.  



동상 전면부에 인공연못엔 해시계 물시계 등 설치해 과학정신 높이 기려

또 동상 전면부에는 세종대왕 주요 과학 발명품인 해시계, 물시계, 측우기, 혼천의 등을 가로 1.0m, 세로 1.1m 의 옅은 인공연못 안에 강화유리상자로 포장, 설치하는 경관조형물을 배치함으로써 대왕의 과학정신을 높이 기렸다. 인공연못은 대왕의 흘러넘치는 높은 덕을 상징한다고 작가는 설명했다. 

동상 후반부엔 세종대왕 업적을 상징하는 기둥형태의 6개 열주 설치
아울러 동상 후면부는 부국강병을 표현하는 공간으로 삼아 세종대왕업적을 상징하는 조형물인 기둥형태의 6개 열주(높이3m, 직경 0.5m)를 설치했다. 열주에는 집현전 학사도, 주자소도, 6진 개척도, 대마도정벌도, 지음도, 서운관도를 부조 형식으로 조각해 대왕의 주요 치적을 담았다.
서울시는 야간 경관조명을 설치해 방문객들이 주야 상관없이 광화문광장과 함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오는 10월 9일 한글날 동상 제막, ‘세종이야기’(가칭)도 마련
서울시는 당선작 발표와 함께 당선작가와 계약체결을 마치고 동상제작에 들어가며, 세종대왕 동상과 연결되는 별도의 출입문을 통과하는 지하보도엔 한글의 체계와 창제과정을 시민과 관광객들이 관람할 수 있는 “세종이야기”(가칭)를 마련, 10월 9일 한글날 동상 제막식과 함께 선보일 계획이다.
 
한편, 이번에 출품된 대한민국 최고의 조각가 5인의 작품들은 내용이 창의적이고 뛰어난 작품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돼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 감상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모형으로 제작, 세종문화회관 앞쪽에 전시할 예정이다.





출처_서울시

손미란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s-mr@hanmail.net
관련키워드l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최근인재정보

인포21C 제휴정보

  • 입찰
  • 낙찰
  • 특별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