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분야, 젊은 인재를 유입하려면?

대한토목학회, ‘인재가 모이는 K-건설을 위한 제언’ 이슈페이퍼 발간
라펜트l기사입력2023-04-13

 


총인구 및 건설기술인 증감추세, 2000-2020 / 대한토목학회 제공

젊은 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함께 건설산업에서의 이탈이 증가하면서 건설기술인의 고령화 속도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고, 이것은 건설산업의 생산성 감소와 국제경쟁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

젊은 건설기술인의 유입을 늘리고, 그들을 새롭게 변모하는 건설산업의 니즈에 적합하게 잘 양성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됐다.

대한토목학회 오피니언위원회는 ‘인재가 모이는 K-건설을 위한 제언’을 주제로 이슈페이퍼를 발행했다.

건설기술인정책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2000년부터 2020년까지 20년 동안 한국의 60대 이상 인구가 2.1배 증가하는 동안 60대 이상 건설기술인은 12.5배로 증가했고, 20대 인구가 13% 감소하는 동안 20대 건설기술인은 75% 감소했다. 건설산업의 고령화 수준이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이슈페이퍼는 문제의 본질을 ▲인적자원의 희귀 자원화 ▲건설기술인 수의 절대 부족 ▲건설산업 내 기술인 수급 불균형 심화 ▲추락하고 있는 K-건설의 글로벌 경쟁력 네 가지로 짚었다.

특히 건설산업 내 기술인 수급의 불균형의 주요 요인을 오랜 기간에 걸쳐 고착화되어온 산업전반에 걸친 ‘저비용 고효율’ 인식으로 꼽았으며, K-건설의 글로벌 경쟁력은 저렴한 노동력에만 의존하는 가격 경쟁력 패러다임에서 미래 기술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지 않고서는 중국, 인도와 같은 후발주자들과의 경쟁이 더욱 어려워질 것
으로 지적했다.

이슈페이퍼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설기술인 외연 확대 ▲건설기능인에서 건설기술인으로의 경력개발 모델 제공 ▲여성 건설기술인 양성 ▲해외 젊은 건설기술인 유입을 위한 제도 마련을 대책으로 제시했다.

우선, 건설기술인 외연 확대를 위해 건설기술인의 범위와 이미지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14년 건설기술진흥법 개정을 통해 건설기술자의 범위 및 등급 산정에 관한 사항 등이 신설됐고, 건설마케팅, 건설정보처리, 건설금융·재무, 건설기획 등으로 세부 분류되는‘건설지원’직무도 포함됐다. 하지만 대학의 교육 현장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설계·시공 업무와 관련된 과목들을 중심으로 커리큘럼이 구성돼 있어 젊은 인재들이 생각하는 건설은 설계와 시공밖에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건설 관련 학과를 통해 진출할 수 있는 직무 분야 외연의 확대는 젊은 인재들이 갖는 건설의 이미지를 바꾸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건설산업이 첨단화 및 다학제화된 인적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피력했다.

둘째로, 건설기능인이 원할 경우 건설기술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경력개발 경로(Career Development Path) 모델 개발의 필요성을 꼽았다.

건설산업 생산 현장의 최전방에서 기능인으로 경력을 시작한 젊은 인재들에게 적절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면 건설기술인 또는 관리자로서 경력을 개발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2014년 건설기술자 역량지수(ICEC) 지수 도입 이후 기능인력도 일정 수준 이상의 학력과 경력을 지니면 건설기술자로 등록할 수 있도록 경로를 열었지만, 실제 산업 현장에서 건설기술인은 대부분 4년제 대학에서 관련 학과를 졸업한 사람들로 구성돼 있고, 실질적으로 기능인 출신이 건설기술인으로 방향을 전환해 경력개발을 실현하도록 훈련할 교육기관이나 프로그램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셋째, 여성 건설기술인 양성을 위한 캠페인과 시스템적 지원이다.

한국건설인정책연구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여성 건설기술인은 전체의 13.9%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여성 기술인의 비율은 낮은 수준이다.

건설분야의 디지털화, CDE(Common Data Environment)와 같은 전자 업무체계에 기반한 재택근무의 가능성 증대 또한 여성 기술인이 설계 및 기술개발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여건이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 환경적, 기술 환경적 변화를 지렛대 삼아 여성 건설기술인 유입 확대를 위한 기회 제공 및 업무환경 개선에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으며, 정부는 이에 대한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해외 젊은 건설기술인 유입을 위한 제도 마련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022년 건설동향브리핑 자료를 통해 대한민국 국적의 대졸자를 중심으로 한 건설기술인 인재 유입·양성 전략의 한계를 명확히 인식하고 결국 타 국적 기술인력의 유입 전략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실적으로 현장, 지방 근무 또는 해외 현장 파견이 한국의 MZ 세대로 대표되는 젊은 세대가 건설업계를 기피하는 이유라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주장이다.

인적자원를 겪고 있는 많은 나라에서 육성형 이민정책을 활용해 부족 인적자원을 수급하려는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육성형 이민정책의 조속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며, 건설산업의 경우 해외인재는 처음부터 해외 현장 파견을 염두하고 비자를 지원해 국내 교육 및 관련 자격증 취득 후 본국으로 돌아가 한국 건설기업에 소속된 기술인으로서 일하도록 하는 제도를 개발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슈페이퍼는 “이와 같은 대책들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관·산·학의 협력적 노력이 절실하게 요구되며, 특히 건설산업의 고유한 특성 및 관 주도의 발주가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전했다.
글_전지은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