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시선] 기후위기와 기후정의
글_김건우 한양대 도시대학원·공학대학원 교수라펜트l기사입력2022-04-07
기후위기와 기후정의

글_김건우 한양대 도시대학원·공학대학원 교수
급속한 도시화는 세계적인 현상입니다. 2000년 전세계 인구의 47%가 도시에 살고 있고, 이러한 도시화 현상은 계속되어 2050년에는 전세계 인구의 60%가 도시에 거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에서는 도시외곽화 현상이 줄고 도시고밀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도시화는’ 이제 도시생태계 변화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도시화 현상으로 도시생태/생태도시의 여러 문제점들이 생겨나고 있는데, 생태적 기능의 저하 및 생물 다양성 감소, 도시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도시 열섬현상, 첨두 유출량 증가에 따른 도시홍수와 같은 많은 환경적 문제들이 바로 그것입니다.

이러한 도시 생태/환경적인 문제점은 오늘날의 팬데믹 시대와 같이 ‘자연재해, 재난’이라는 이름으로 우리 생활 속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20년 미국해양대기관리청 자료에 의하면 ‘가뭄’, ‘도시홍수’, ‘대용량 강수량’, ‘겨울 폭풍’, ‘열대 폭풍/허리케인’, ‘기습한파 무더위 같은 기상 이변’ 및 ‘산불’과 같은 자연재해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우리가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들은 이러한 자연재해 및 재난은 언제 어떻게 일어날지 모르는 불확실성이 높고 그 강도와 횟수를 예측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우리는 여기서 이러한 자연재해 및 재난의 원인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에 대하여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2001년 교토의정서 탈퇴 후 기후변화에 관심갖게 된 하나의 사건이 있었습니다. 바로 2005년 8월 미국 남부를 덮친 허리케인 카트리나입니다. 이 허리케인으로 루이지애나 미시시피강 삼각주와 미시시피 해안가가 피해를 입었고, 앨라배마와 플로리다 해안가도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특히 뉴올리언스는 카트리나로 제방이 무너져 도시의 80%가 물바다가 되었고, 이재민 6만 명이 경기장에서 지내야 했습니다. 공식적인 최종 집계 결과는 사망자 1,245~1,836명에 실종자 10~66명. 뉴올리언스에서 저소득층이 사는 곳은 저지대라 피해가 컸고 인구 대부분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었기 때문에 인종차별 문제가 다시 한 번 이슈가 되었습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기후정의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기후정의는 기후변화가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사람들에게 사회적, 경제적, 의료상의 그리고 기타 좋지 않은 영향을 더 많이 미칠 수 있음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후변화 영향은 IPCC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 2007, 2014 보고서에 따르면 그 횟수와 그 영향력 및 강도가 더욱더 증가하는 기상이변을 일으킬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결국 이러한 기상이변으로 고통받는 계층은 누구일 것인가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게 됩니다.
기후변화가 다시 한번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사람들에게 더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기후정의 개념을 떠올려 봅시다. 이는 곧 팬데믹 이후 조경의 역할이 계층 간에 녹지 공급의 불균형을 없애고 모든 시민이 생태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보편적 복지’ 차원으로 접근함과 동시에 소외계층에 대한 포용적 생태복지도시로 발전해 나가야 함을 알게 합니다.

───────────
참고문헌
Alberti, M. (2008). Advances in urban ecology: integrating humans and ecological processes in urban ecosystems (No. 574.5268 A4). New York: Springer.
- 글 _ 김건우 교수 · 한양대 도시대학원·공학대학원
-
다른기사 보기
관련키워드l녹색시선, 김건우, 한양대 도시대학원·공학대학원, 기후위기, 기후정의
기획특집·연재기사
- · [녹색시선] 기부로 탄생한 공원 리틀아일랜드
- · [녹색시선] K엑스포 유치 실패가 2033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유치에 주는 교훈
- · [녹색시선] 법과 조직의 맛을 보게 하라
- · [녹색시선] 고향 군위가 그립습니다
- · [녹색시선] 젤리코 어워드와 한국조경
- · [녹색시선] 마을정원 모델 미하라정원
- · [녹색시선] ‘모두의 집’ 리와일딩 건축 공모전의 초대
- · [녹색시선] 고대 히타이트 가상경관 제작일지 2편
- · [녹색시선] 모듈화, ICT, 드론을 통한 탄소중립형 조경 기술의 발전
- · [녹색시선] 역사경관지구의 조경수의 역할과 보존
- · [녹색시선] 영국에서의 공원녹지 평가 Part Ⅰ
- · [녹색시선] ‘정원’이 되어 가는 하천’에 대한 염려
- · [녹색시선] 오삼이의 죽음, 그가 던진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