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과학공원 활성화안 ‘난항’
라펜트l기사입력1999-08-01
‘시민공원’으로 새롭게 태어날 채비를 갖추고 있던 엑스포과학공원 활성화안이 암초에 부딪쳐 난항을 겪고 있다. 대전시에서 지난 6월 11일 발표한 엑스포과학공원 활성화 마스터플랜 공모전의 당선작인 삼성에버랜드(주)의 안이 과학기술과 벤처에 관한 내용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이유로 대전지역의 전문가집단이 반발하고 나선 것.
이들은 6월 29일‘엑스포과학공원 활성화 협의회’(회장 원광연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교수·이하 협의회)를 구성해 대전시를 방문한 한편 7월 1일 발족된 엑스포공원공사를 상대로도 당선안의 철회를 주장하고 있다.
대전지역 과학·기술관련 교수 20여명으로 구성된 협의회는 엑스포과학공원이 ‘테마파크’에서 ‘시민공원’으로 탈바꿈하는 것에 기본적으로 반대하는 것은 물론, 공모 심사과정에서 과학자를 배제했다는 것, 수천억원이 투입된 14개 관중 반 이상을 철거하는 것에 대해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에 대해 대전시는 이번 공모는 심사위원 구성까지 용역을 주어 진행하였으며 심사위원들은 특정과학자가 아니더라도 공원의 성격을 폭넓게 진단할 수 있는 종합과학관련 교수들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삼성에버랜드(주)의 오웅성 수석디자이너는 “기존의 전시관들 중에는 엑스포당시 설계도 없이 지어진 건물 등 가건물 수준의 건물도 있고 장마 때 비가 샐 정도로 유지·보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며 건물 내부의 소프트웨어 등의 프로그램도 모두 업그레이드를 해야 할 정도로 대전시에서도 건물철거를 기본원칙으로 삼고 있었다”고 전했다. 이에따라 삼성에버랜드측은 엑스포과학공원과 관련된 의혹을 철저히 규명하기 위해 기자회견을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원광연 교수는 “기존건물의 외관 및 소프트웨어 등이 낙후되었다는 이유만으로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건물을 철거하는 것은 불합리하며 이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엑스포과학공원은 대전시민의 것만이 아닌 전국민의 공원이므로 쾌적한 휴식공간의 조성보다는 미래지향적인 안목에서 공원의 성격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대해 대전시 과학기술과의 김용조 계장은“건물철거에 있어서도 안전진단을 통해 철거할 건물과 존치할 건물을 재검토할 계획이며 협의회와의 의견조정을 통해 시간이 걸리더라도 충분히 검토한 후 과학 공원의 활성화방안의 기본계획안을 결정지을 방침”이라고 말해 최종안 결정을 하반기로 대폭 늦출 방침이다.
이들은 6월 29일‘엑스포과학공원 활성화 협의회’(회장 원광연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교수·이하 협의회)를 구성해 대전시를 방문한 한편 7월 1일 발족된 엑스포공원공사를 상대로도 당선안의 철회를 주장하고 있다.
대전지역 과학·기술관련 교수 20여명으로 구성된 협의회는 엑스포과학공원이 ‘테마파크’에서 ‘시민공원’으로 탈바꿈하는 것에 기본적으로 반대하는 것은 물론, 공모 심사과정에서 과학자를 배제했다는 것, 수천억원이 투입된 14개 관중 반 이상을 철거하는 것에 대해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에 대해 대전시는 이번 공모는 심사위원 구성까지 용역을 주어 진행하였으며 심사위원들은 특정과학자가 아니더라도 공원의 성격을 폭넓게 진단할 수 있는 종합과학관련 교수들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삼성에버랜드(주)의 오웅성 수석디자이너는 “기존의 전시관들 중에는 엑스포당시 설계도 없이 지어진 건물 등 가건물 수준의 건물도 있고 장마 때 비가 샐 정도로 유지·보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며 건물 내부의 소프트웨어 등의 프로그램도 모두 업그레이드를 해야 할 정도로 대전시에서도 건물철거를 기본원칙으로 삼고 있었다”고 전했다. 이에따라 삼성에버랜드측은 엑스포과학공원과 관련된 의혹을 철저히 규명하기 위해 기자회견을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원광연 교수는 “기존건물의 외관 및 소프트웨어 등이 낙후되었다는 이유만으로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건물을 철거하는 것은 불합리하며 이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엑스포과학공원은 대전시민의 것만이 아닌 전국민의 공원이므로 쾌적한 휴식공간의 조성보다는 미래지향적인 안목에서 공원의 성격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대해 대전시 과학기술과의 김용조 계장은“건물철거에 있어서도 안전진단을 통해 철거할 건물과 존치할 건물을 재검토할 계획이며 협의회와의 의견조정을 통해 시간이 걸리더라도 충분히 검토한 후 과학 공원의 활성화방안의 기본계획안을 결정지을 방침”이라고 말해 최종안 결정을 하반기로 대폭 늦출 방침이다.
관련키워드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