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상록수종 선정 둘러싸고 민간환경단체와 마찰
라펜트l기사입력1996-04-01
경상남도가 상록화 사업일환으로 추진중인 가로 수종의 선정이 현실적이 못해, 지역 민간환경단체가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경상남도는 올해 조림사업비 85억2천3백만원을 들여 2천 148ha에 장기수 유실수 환경수 등 나무 조경수 5백57만 그루를 심는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시민환경단체는 도내 전역에 가로수 숲 상록화 사업을 추진하는 취지는 찬성하나 수종선정에 있어 지역차별화, 특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어 문제점이 제기된다며 녹화사업 시행을 중지하고 나섰다.
환경전문 한 관계자는 녹화사업의 필요성은 인정되지만 기초자치단체의 재정자립이 열악한 상황에서 계획적이지 못한 도의 방침은 결국 막대한 예산만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우려, 장기적 안목에서 전문가와 시민의 의견을 수렴해 순기능의 녹화사업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상남도는 올해 조림사업비 85억2천3백만원을 들여 2천 148ha에 장기수 유실수 환경수 등 나무 조경수 5백57만 그루를 심는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시민환경단체는 도내 전역에 가로수 숲 상록화 사업을 추진하는 취지는 찬성하나 수종선정에 있어 지역차별화, 특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어 문제점이 제기된다며 녹화사업 시행을 중지하고 나섰다.
환경전문 한 관계자는 녹화사업의 필요성은 인정되지만 기초자치단체의 재정자립이 열악한 상황에서 계획적이지 못한 도의 방침은 결국 막대한 예산만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우려, 장기적 안목에서 전문가와 시민의 의견을 수렴해 순기능의 녹화사업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키워드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