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목원-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전통정원 24곳 발굴
정원 문화재 지정 및 공동연구 협력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수목원간 공동 조사 / 국립수목원 제공
조사대상 | 소재지 | 조사 내용 |
경주 최부자댁 | 경상북도 경주시 교촌안길 19-23 | ▸ 임진왜란 공신인 최진립(1568~1636) 장군을 중시조로 분파한 경주 최씨 종택으로, 최부자댁의 정원은 사랑채 누마루 앞에 1930~1940년경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조물이 위치하고 그 뒤로 화단이 조성됨 |
함양 일두고택 |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길 50-13 | ▸ 조선시대 대표적인 유학자 일두 정여창(1450~1504)의 생가로, 일두고택 정원의 가장 큰 특징은 사랑채 누마루 앞에 조성된 삼봉형 석가산(石假山)이며, 옆에 수고 약 7m의 소나무와 산철쭉, 회양목, 범부채 등의 식생이 어우러짐 |
거창 동계종택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동1길 13 | ▸ 조선시대 문신인 동계 정온(1569~1641)의 생가로, 마당은 크게 사랑마당과 안마당, 뒷마당으로 구분되며, 누마루 앞의 자연석 화단에 매실나무, 패랭이, 바위솔국, 꽃잔디 등의 식생이 우점함 |
상주 우복종택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채릉산로 799-90 | ▸ 우복 정경세(1563~1633)가 임진왜란 이후 관직을 버리고 여생을 지낸 곳으로, 정원 공간은 크게 종가와 종가 외부 공간으로 나뉘며, 대문채 앞 이안천을 내려다보는 공간은 세심대(洗心臺)로 불림 |
성주 예산리 만산댁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예산3길 30-2 | ▸ 1938년 도문환(1887~1970)에 의해 건립된 근대식 가옥으로, 안마당을 중심으로 사랑채와 안채가 동시에 바라보이는 구조이며, 사랑채 남측 지당을 중심으로 교목류와 관목류, 초본류가 식재되고 곳곳에 괴석을 배치함 |
단계 박씨고가, 산청 단계리 박씨고가 |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신차로 546-8 /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신등가회로 33-8 | ▸ 대상지는 각각 조선 인조 8년(1630)과 일제강점기 초에 건립되었으며, 사이에 지어진 담장을 따라 자연석 화단이 조성되어 있으며, ‘ㅁ자’형의 안마당에는 판석으로 문간채와 안채 등을 연결하는 동선이 포장됨 |
거창 갈계리 임씨고가 |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샘골길 6 | ▸ 조선시대 문신 갈천 임훈(1500~1584)이 살았던 가옥으로 1570년에 건립되었으며, 정자를 중심으로 담장 밑 화단을 따라 영산홍, 무도철쭉 등이 군식 되어 있으며, 그 위로 다육식물을 식재한 기와들이 줄지어 배치됨 |
문경 장수황씨 종택 |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금천로 671 | ▸ 방촌 황희(1363~1452)의 7대손인 칠봉 황시간(1558~1642)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 살고 있는 가옥으로, 안마당에 우물을 조성하고 사랑 마당에 탱자나무 노거수 2주가 자리하고 남측에 반송, 동측에 소나무, 산수유 등이 식재됨 |
밀양 청운리 안씨고가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청운2길 20-9 | ▸ 의관직을 역임한 육천 안붕원(1805~미상)에 의해 건립된 가옥으로, 전체적으로 사랑마당에 식재공간을 둔 전원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사랑마당에 과거 마구간으로 사용되던 건물터에 하마석이 위치하고 인근에 자연석 화단이 조성됨 |
고성 최필간 고택 | 경상남도 고성군 하일면 학동돌담길 55 | ▸ 조선조 1670년경 입향조 최형태의 5대 종손 최필구가 살던 종택이 분가하는 과정에서 작은집으로 조성되었으며, 인근의 수태산에서 채취한 돌을 활용하여 담장을 조성하고 사랑채 동측과 서측에 화단과 화단 근처 장방형 지당이 조성됨 |
함양 노참판댁 고가 |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길 34-2 | ▸ 호조 참판을 지낸 감모재 노광두(1772~1859)가 기거하던 집으로, 진입로에 텃밭이 조성되어 있으며, 곳곳에 감나무와 자두나무, 복사나무 등의 유실수가 자리하고 있고 대문채 서측 담장과 사랑채 동측 담장을 따라 유실수가 식재됨 |
함양 개평리 하동정씨 고가 |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길 62-12 | ▸ 정여창의 후손이 분가하여 조성한 가옥으로, 사랑채가 사라지면서 대문채에서 안채까지의 공간이 모두 마당의 기능을 하고 있으며, 마당 전체 금잔디가 깔려있고 상록수가 곳곳에 식재됨 |
장흥 죽헌고택 |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방촌길 101 | ▸ 방촌마을의 고지대에 위치하며, 존재 위백규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행랑채가 유실되면서 화단으로 조성하고 사랑채 북동쪽에 위치한 지당에 원형의 석가산을 조성하였으며, 고택 내부에 단풍나무, 동백나무, 감나무 등의 식생이 확인됨 |
장흥 무계고택 |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내평길 16 | ▸ 조선시대 철종 3년(1852) 고재극이 조성한 가옥으로, 급경사 지형에 3개의 공간이 상단, 중단, 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옥 외부에 지당을 조성하고 배롱나무를 식재하였으며, 안채 전면의 우물 주변에 석등, 괴석 등을 석물로 배치됨 |
나주 계은고택 |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동력길 18-1 | ▸ 신각산 남서쪽 자락의 풍산 홍씨 집성촌 도래마을 내부에 위치하고 상량문 기록에 의해 1892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각 마당과 문간채를 연결하는 주 동선에 판석을 설치하고 사랑마당과 사랑채 담장 아래 식생공간이 배치됨 |
나주 홍기창 가옥 |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동력길 20 | ▸ 풍산 홍씨 집성촌인 도래마을 내부에 위치하고 상량문 기록에 의해 1918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안마당에 식재된 꽝꽝나무 등의 관목 사이로 판석을 놓고 화단 주변에 괴석을 놓아 경관이 연출됨 |
장수 장재영 가옥 | 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원노단길 15 | ▸ 철종 7년(1856)에 조성되었으며, 원래 있던 지당을 메우고 화단을 조성하고 대문채 양쪽에 하마석과 은행나무 주변에 석상, 거북형상의 석조물을 배치하였으며, 배롱나무, 목련, 철쭉류, 꽝꽝나무 등이 식재됨 |
창평 장전이씨 고택 |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장전가흥길 67-17 | ▸ 장전마을에 입촌한 이형정(1682~1752)의 종가이며, 사랑마당에 장방형의 방지와 중도를 조성하고 호안에 사철나무를 경계목으로 둘러 심었으며, 과거 중도 내부의 매화나무가 생육하였는데, 고사한 뒤 다른 매화나무로 대체됨 |
장수 권희문 가옥 | 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오메길 9 | ▸ 조선시대 상류 가옥으로 상량문에 따르면 영조 49년(1773)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사랑마당과 안마당으로 구분되며 사랑마당에 화단을 조성하고 굴뚝과 석물 등의 점경물이 배치됨 |
남원 몽심재 고택 |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내호곡2길 19 | ▸ 박동식(1753~1830)이 세운 조선시대 후기의 가옥으로, 대문채의 동측에 지당과 요요정(樂樂亭) 주변에 은행나무, 청단풍이 식재되어 있고 안채 뒤의 후원에 화계를 조성하여 유실수가 식재됨 |
남원 죽산박씨 종가 |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호곡리 270-1 | ▸ 죽산박씨의 종가로 영조 34년(1758)경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안채와 사랑채,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고 바깥마당 솟을대문의 좌·우측과 사랑채 전면부에 화단이 조성되어 있으며 화단 경계부는 관목류가 식재됨 |
영광 매간당 고택 | 전라남도 영광군 군남면 동간길2길 83-1 | ▸ 연안 김씨 집성촌에 지어진 조선 후기의 가옥으로 사랑마당을 중심으로 사랑채, 서당, 연못을 배치하였으나, 현재 연못은 터만 남아 있으며, 사랑마당에 화단을 조성하여 은행나무와 관목류가 식재하고 후원에 감나무와 접시꽃 등이 식재됨 |
정읍 김명관 고택 |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 공동길 72-10 | ▸ 김명관이 조선 정조 8년(1784)에 세운 집으로, 주택 전면에 타원형의 지당이 조성되고 주변에 은행나무, 단풍나무, 느티나무를 식재하였으며, 사랑채 동측 화단 앞에 판석을 놓아 수로를 조성하여 수경관이 조화를 이룸 |
익산 조해영 가옥 |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수동길 8 | ▸ 조선시대 가옥으로 상량문에 따르면 1918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안채와 별채는 남북으로 길게 평행을 이루고 사랑채 주변에 화단을 중심으로 하는 정원 공간을 두고 있으며, 이를 제외한 부분은 텃밭으로 조성됨 |
- 글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