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살리기 사업, 콘셉트는 ‘친환경’?
보 수문 본격 설치… 소수력발전·어도·생태학습장 조성정부가 추진 중인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일부 보(洑)의 수문이 곧 그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 4대강살리기 추진본부는 4대강 사업구간에 설치되는 16개 보 중 한강의 이포보 등 6개 보는 이달부터 일부 수문을 설치한다고 밝혔다.
보는 수심 유지와 용수의 취수 기능을 하는 수리시설 4대강 사업의 보는 수력발전이 가능한 소수력발전소, 물고기를 비롯한 수생동물의 이동을 위한 어도 등의 기능이 설치될 계획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현재 16개 보 공정률은 36%(계획 32%)로 수문 설치가 진행 되는 곳은 한강 이포보(3공구)와 금강의 금남보(행복1지구), 금강보(7공구), 낙동강의 칠곡보(24공구), 구미보(30공구), 낙단보(32공구)로 총 6개소이며 설치되는 수문의 수는 19개 중 12개다.
▲ 왼쪽부터 이포보 조감도, 칠곡보 조감도
전체 보 수문 설치는 내년 6월 중 완료될 예정으로 수문이 다 설치되면 시험가동을 거쳐 홍수기 이후 담수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국토부는 전했다.
각 보의 통수량은 4대강 계획홍수량보다 높게 설계돼 준설효과 등을 고려했으며 수문은 홍수기에는 모두 개방해 홍수위를 저감할 방침이다. 현재 수문 중 가장 큰 규모는 낙동강의 강정보로 수문의 크기는 45m * 11m이며 848톤짜리 2개로 구성된다.
국토부는 4대강 사업이 완료되면는 총 8억㎥의 저수용량이 증대되며, 확보된 수자원을 통해 가뭄에는 지역의 농업·공업·생활용수를 보다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4대강에 설치될 보는 모두 소수력 발전소가 함께 건설되며 총 발전시설용량은 소양강다목적댐 수력발전 용량(20만0000㎾)의 약 25%인 5만756㎾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이 소수력 발전으로 연간 2억7000만㎾h의 에너지가 생산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생태하천 조성 단면도
보 주변에는 33개의 어도와 생태학습장 이용자를 위한 전망대, 관찰데크 등이 조성되고 생태학습장, 습지, 저류지 등에 돌무더기, 고사목놓기, 횟대 등을 설치해 어류, 조류, 소생물의 서식지를 조성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을 통해 깨끗해진 하천을 주민과 함께 하는 복합공간으로 조성함으로써 하천을 생활, 여가, 관광, 문화, 녹색성장 등이 어우러진 친환경적 복합공간으로 활용해 지역주민들의 생활의 변화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 친환경 복합공간 활용 예. 왼쪽위부터 시계방향으로 하천변 친수공간과 캠핑장, 수변 생태공원 조류관찰대, 나루터, 고수부지 문화공간
출처 _ 한국주택신문(www.ousingnews.co.kr )
- 이명철 기자 · 한국주택신문
-
다른기사 보기
lmc@housin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