名家의 美
라펜트l기사입력2006-02-01
세계의 주생활문화, 건축과 도시환경, 한국의 전통건축과 전통문화, 차문화에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는 현영조 박사가 환경과 문화 관련 연구·개발의 우선적 작업으로 많은 국내외 여행의 경험을 토대로 호남 문화권과 영남문화권, 중부문화권의 옛 주생활 공간 내외부를 사례로 묶은 한국의 전통건축『名家의 美』를 발간했다.
이 책은 조선시대 대표적 지식인들의 주생활 공간들을 풍수지리적 관점, 전통적 관점, 생태적 관점, 철학적 관점을 통해 분석하고 있으며, 건축적 의미와 문화적 의미도 포함하여 소개하고 있다. 책 속에서는 정약용의 다산초당, 이율곡의 예림서원, 윤선도의 세연정, 양산보의 소쇄원, 윤선도의 녹우당, 허유의 운림산방, 이후의 선교장, 신사임당의 오죽헌, 조보양의 양계초려, 권벌의 청암정, 변안열의 구양서원, 류성룡의 양진당, 이언적의 독락당 등을 비롯해 김동수 가옥, 김종길 가옥, 정여창 고택, 정온 종택, 윤증고택, 추사고택과 왕가의 건축미를 보여주는 운현궁과 문중의 교육공간을 보여주는 종학 등도 사진과 상세한 설명과 함께 만나볼 수 있다.
특히 이 책은 전통건축의 내부(실내건축)와 외부 조경의 조형적 독창성, 주변 경관과의 조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건축물의 부속 시설에 대한 디테일한 사진과 설명을 곁들여 이해를 돕고 있다. 다양한 시각으로 전통건축을 소개하고 있는 이 책은 전통요소를 활용한 세련된 공간을 창출하는 새로운 동기를 부여하게 될 것이다.
펴낸곳 : 도서출판 요철요 / 지은이 : 현영조 / 정가 :
50,000원 / 문의 : (016)365-5301
이 책은 조선시대 대표적 지식인들의 주생활 공간들을 풍수지리적 관점, 전통적 관점, 생태적 관점, 철학적 관점을 통해 분석하고 있으며, 건축적 의미와 문화적 의미도 포함하여 소개하고 있다. 책 속에서는 정약용의 다산초당, 이율곡의 예림서원, 윤선도의 세연정, 양산보의 소쇄원, 윤선도의 녹우당, 허유의 운림산방, 이후의 선교장, 신사임당의 오죽헌, 조보양의 양계초려, 권벌의 청암정, 변안열의 구양서원, 류성룡의 양진당, 이언적의 독락당 등을 비롯해 김동수 가옥, 김종길 가옥, 정여창 고택, 정온 종택, 윤증고택, 추사고택과 왕가의 건축미를 보여주는 운현궁과 문중의 교육공간을 보여주는 종학 등도 사진과 상세한 설명과 함께 만나볼 수 있다.
특히 이 책은 전통건축의 내부(실내건축)와 외부 조경의 조형적 독창성, 주변 경관과의 조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건축물의 부속 시설에 대한 디테일한 사진과 설명을 곁들여 이해를 돕고 있다. 다양한 시각으로 전통건축을 소개하고 있는 이 책은 전통요소를 활용한 세련된 공간을 창출하는 새로운 동기를 부여하게 될 것이다.
펴낸곳 : 도서출판 요철요 / 지은이 : 현영조 / 정가 :
50,000원 / 문의 : (016)365-5301
관련키워드l